반복내용 건너뛰기(skip to main content) 본문 바로가기(Go body) 메뉴 바로가기(Go Menu)
G03-8236672469

기자수첩

불산누출, 같은 사고 다른 결과

NSP통신, 도남선 기자, 2014-03-07 15:30 KRD5
#이수화학(005950) #불산누출 #초동조치 #불산사고 #불산혼합물유출

이수화학, 초동조치 10분 ‘피해확산 막아’...반면 구미·화성 사고는 ‘대형 인재’

NSP통신

(서울=NSP통신 도남선 기자) = ◆ 이수화학(005950) 불산누출 사고 초동조치 일지

지난달 25일 이수화학 울산공장에서 불화수소(HF) 혼합물 100리터 누출사고가 발생했다.

이수화학은 사고 발생 5분만에 중화작업을 진행함과 동시에 밸브를 차단하는 등 초동조치에 착수, 사고발생 10분만에 인명피해 없이 초동조치를 완료했다.

G03-8236672469

초동조치 후 즉각 관계당국에 사고 신고를 접수해 이튿날인 26일 안전점검과 환경측정에 착수, 현장직원의 건강검진을 실시했다.

사고 3일 뒤인 28일 공장가동이 재개됐고, 신속한 초동조치로 피해확산을 조기에 차단할 수 있었다.

당시 현장점검을 나왔던 한 관계자는 “이수화학의 신속한 초동조치는 모범적 사례”라며 “즉각적인 초동조치가 피해확산을 막았다”고 말했다.

불산은 약산으로 분류되지만 부식성은 염산보다 높다.

특히, 사람의 피부를 뚫고 조직 속으로 쉽게 침투해 강력한 독성을 일으킨다.

불산 증기 역시 맹독성으로 피부탈색과 각막을 파괴하고 심한 경우 부정맥과 심장마비를 일으킬 수 있다.

하지만 지난해 1월 경기도 화성에서 발생한 불산누출 사고의 경우, 방제복 없이 평상복에 방독면 착용 현장 작업자가 불산 중독으로 숨졌다.

같은 불산누출 사고지만, 정 반대의 결과다.

초동대응에 실패, 또는 안일한 대처로 사고를 키웠던 불산누출 사고 사례를 종합해봤다.


◆ 불산누출, ‘같은 사고, 다른 결과’...구미, 화성 대형 인재(人災)

▲ 초동대응 총체적 부실로 ‘특별재난지역’...사망 5명, 364억원 피해보상

지난 2012년 9월 27일 구미국가산업단지의 H 중소기업에서 불산누출 사고가 발생했다.

불산을 중화할 수 있는 소석회가 없어 피해가 확산됐다.

사고발생 2시간 20분이나 지나 소석회 14포대를 확보했고 사고발생 10시간 만에 불산누출 밸브를 잠글 수 있었다.

결국 현장 근로자 5명이 숨졌고, 현장출동 소방관과 경찰관, 인근 주민 등 1만1000여명 검사 및 치료를 받았다.

이 사고로 인근지역에 불산가스 피해도 입혔다.

이 지역은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된데다가 피해보상도 364억 원 규모나 됐다.

▲ 불산누출 10시간 비닐봉지 미봉책, 평상복 현장대응 1명 사망

지난해 1월 28일 경기도 화성의 S전자업체에서 불산누출 사고가 발생했다.

협력업체 직원 현장작업 때 방제복 없이 평상복에 방독면만 착용해 불산중독으로 1명이 숨지고 4명이 부상을 입었다.

불산누출 보고를 받은 뒤 4시간 30분이 지나 밸브교체 승인이 났다.

밸브 연결부위가 제대로 조이지 않아 2차 누출사고가 발생했다.

이 회사는 사고발생 당시 소량의 불산이 누출된 것으로 오판해 10시간 동안 불산 유출부위를 비닐봉지로 막아두기도 했다.

이 회사는 사고가 발생한지 하루 지나서 관계당국에 신고해 사고를 은폐하려는 의혹도 일었다.

▲ 사고발생 10시간 후 방제작업, 3일 지나 현장직원 검강검진

지난해 3월 2일 경북 구미의 L사 반도체 웨이퍼 생산공장에서 불산 혼합물 유출 사고가 발생했다.

이날 오전 10시30분, 필터에 미세균열이 발생한 것을 확인했다.

오후 6시 필터 교체 후 시험가동 과정에서 불산 혼합물이 유출됐으나 2시간 뒤인 8시 40분에 방제작업이 개시됐다.

사고발생 16시간 지난 3일 낮 12시30분 내부자 고발로 관계당국에 사고발생 신고가 접수돼 조사가 진행됐다.

불산은 노출농도에 따라 24~48시간 사이에 발병되는 경우 있어 불산에 노출되는 즉시 병원에서 검진 또는 관찰을 받아야 함에도 불구하고, 이 회사 현장 생산라인 직원 11명은 사고발생 3일이 지나서야 건강검진을 받을 수 있었다.


◆ “내 책임 아니다?” 산업계, 태도부터 바꿔라

지난해 발생한 모 전자업체의 불산누출 사고와 관련해 지난달 열린 공판에서 이 회사는 혐의 대부분을 부인하고 나섰다. 회장이 직접나서 “이는 후진적인 안전사고”라며 3조원을 투자해 환경안전문제를 고치기 위해 노력한다고는 했지만 태도부터가 틀렸다.

포스코는 지난해 안전방재 관련 TF를 구성, 개인보호구와 장비에 3억원을 투자하는 등 사고 대응 능력을 강화했다. 이수화학도 지난해 7월 6000만원의 예산을 들여 이동식 중화 스크러버를 마련해 만일에 있을 화학사고 확대 방지에 나섰다.

이처럼 유해 화학물질을 다루는 주요기업들이 사고 대응능력을 강화하고 있고, 또 강하게 요구되는 시점에서 “내 책임은 아니지만 앞으로 그런일 없도록 할게” 이런 한심한 기업의 태도. 참으로 안타깝다.

aegookja@nspna.com, 도남선 기자(NSP통신)
<저작권자ⓒ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