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내용 건너뛰기(skip to main content) 본문 바로가기(Go body) 메뉴 바로가기(Go Menu)
G03-8236672469

평택 메르스 사태 1년 그 후

- (5)컨트롤 타워 문제 근본대책은

NSP통신, 김병관 기자, 2017-01-18 09:41 KRD2
#평택시 #공재광 #평택메르스 사태1년 그후 #컨트롤 다워 문제 해결 #근본대책 필요

인프라 구축, 지역주민들과의 소통, 피해대책 등 우선돼야

NSP통신-경기 평택시 시청사의 전경. (NSP뉴스통신 = 김병관 기자)
경기 평택시 시청사의 전경. (NSP뉴스통신 = 김병관 기자)

(경기=NSP통신) 김병관 기자 = 보건 전문가들은 컨트롤 타워 문제 해결을 위한 기본적인 대책으로 전문적 역량을 갖춘 인프라 구축과 평택시 보건소와 시가 긴밀히 협력해 평택의 모든 자원을 해결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컨트롤 타워(Control Tower)는 운영을 총괄하는 사령실로 이송, 배치,계획,수립에 대한 전반적인 일을 지시하고 감독하는 역할을 일컫는다.

그러나 메르스 사태 당시 평택시는 컨트롤 타워는 전혀 작동하지 않았다. 평택시민단체 등에 따르면 메르스 사태 당시, 평택시 초기 대응을 보면 특별한 대응도 없었고 시의적절한 대응책도 없어 이런 부분에 대해 세월호와 흡사하다고 지적했다.

G03-8236672469

이런 결과로 평택시민의 생명과 안전이 위협받고 고통을 받았다. 세월호 이후에도 정부가 안전사회를 만들겠다고 했지만 제대로 된 세월호 진상규명은 하지 않은 채 시간을 낭비하고 있다는 주장이 지배적이다.

NSP통신-평택시보건소의 전경. (NSP뉴스통신=김병관 기자)
평택시보건소의 전경. (NSP뉴스통신=김병관 기자)

메르스 사태를 보면 해당 지역 안전 의식에 대한 불감증 등은 여전히 개선되지 않고 있으며 평택시의 근본적인 성찰과 개선이 이루어져 한다.

의료전문가들은 평택시 등에서는 제2의 메르스 발생할 경우 대응체계에 대해 ▲어떠한 행정체계로 대응할 것이냐 ▲신속한 지역 주민들과의 소통문제와 피해 대책이 있느냐 ▲학교 보건은 어떻게 할 것이냐 등 이러한 부분에 대한 총체적 측면에서 반성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특히 경기도를 몇 개의 권역으로 나눠서 생활권역으로 나눴을 때 평택, 안성 등 이 지역에 만약 전염병이 지금까지 5년에서 6년 단위였다면 3년에서 4년 단위로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해당 지자체는 감염병 등에 대해 대비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 정부와 일선 지자체, 시민들과의 신뢰 관계 필요

시민들은 일선 지자체와의 신뢰 관계가 있어야 한다. 시민들은 신뢰 관계를 확보하기 위해 메르스 관한 발생 정보나 병에 위증한 상태, 예방하려는 방법 등 이런 부분을 시민들에게 초기부터 신속하게 정보를 알려야 한다.

NSP통신-평택시의 한 병원의 전경. (NSP뉴스통신=김병관 기자)
평택시의 한 병원의 전경. (NSP뉴스통신=김병관 기자)

또 정부와 해당 지자체가 진실하고 신속하게 정보를 알리다 보면 신뢰 관계가 쌓여 국민은 정부를 믿고 자기 주변에서 일어난 일을 정확하게 정부나 지자체에 정보를 제공하고 또 그 정부와 지자체는 이에 따라 대응조치를 적절히 해줘야 한다.

메르스 평택시민 비상대책협의회 관계자는"정부와 일선 지자체, 시민의 신뢰 관계를 확보하는 게 중요하고 시민들과의 소통관계가 원활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감염병이 발생 시 국민이나 시민들은 정부와 지자체를 신뢰하듯 곧바로 의료기관이나 정부 신고센터에 신고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 메르스 발생 시 위험정보 공개와 민간의료 기관의 방역조치 등 필요

의료전문가들은 메르스 발생 시 대처방안에 대해 위험정보 공개와 민간의료 기관의 역학조사 및 방역조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먼저 요구되어야 할 것은 감염병 정보의 공개 의무화다. 이는 최소한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했어도 메르스 사태로 많은 사람이 목숨이 잃은 일들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부는 그에 파생된 시민들이 가진 불안과 불신을 해소하는 정치 사회적 기능들의 역할이 감염병 대처와 해당 지자체장의 대처 능력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평택시는 메르스가 남긴 상처와 교훈은 헛돼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고 견해를 밝혔다.

이어 시는 메르스 백서를 제작했고 작성된 백서와 메뉴얼을 토대로 지난 2005년 11월 실제 가상훈련도 했다고 덧붙였다.

NSP통신-평택시 통복동 전통시장의 모습. (NSP뉴스통신=김병관 기자)
평택시 통복동 전통시장의 모습. (NSP뉴스통신=김병관 기자)

감염병 발생 시 정부와 해당 지자체는 가능한 모든 정보를 투명하게 즉시 공개해야 하고 이를 국민에게 알려야 한다.

이 밖에도 공중방역체계 개혁 및 지역 방역 체제 구축 등도 필요하다.

◆메르스 사태에 대한 앞으로 과제 … 지속적인 관심과 대책 등 필요

메르스 사태에 대한 앞으로 과제는 어떻게 해야 할까.

메르스 사태로 인한 사망자, 유가족, 확진자, 격리자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대책과 더불어 생활안전 지원과 트라우마에 대한 치유가 필요하다.

평택시 합정동의 A 씨는"메르스 사태 당시에 해당 지자체에서 너무 안이한 대응과 우왕좌왕하는 것을 자주 보였다"면서"앞으로는 항상 유비무환 정신을 새겨 컨트롤 타워에 따른 준비를 철저히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NSP통신-평택시 통복동 전통시장의 모습. (NSP뉴스통신=김병관 기자)
평택시 통복동 전통시장의 모습. (NSP뉴스통신=김병관 기자)

이은우 평택사회경제연구소장은"메르스를 초기에 빨리 대응하고 같이 관심 있게 소통하면서 정치적으로 해소하는 노력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중앙정부가 컨트롤 타워 역할을 해야 한다. 또 다른 하나는 지방정부가 역할의 한 부분으로서 동반자로서의 상호 권한의 배분과 역할이 나와줘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지방정부는 그에 파생된 시민들이 가진 불안과 불신을 해소하는 정치 사회적 기능들의 역할이 감염병 대처와 해당 지자체장의 대처 능력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NSP통신/NSP TV 김병관 기자, inspect1234k@nspna.com
저작권자ⓒ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