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NSP통신) 김민정 기자 = 독도박물관은 1일부터 내년 4월 30일까지 독도박물관 특별전시실에서 독도 최초의 주민 최종덕의 삶을 재조명는 특별전시회 ‘어부지용(漁父之勇)’을 개최한다.
독도박물관은 전시를 개최하는 5월 1일이 최종덕이 출생한100주년이 되는 날로 이를 기념하기 위하여 해당 일자에 전시를 개최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전시제목인 ‘어부지용’은 장자(莊子)에서 유래된 사자성어로 어부가 물을 두려워하지 않는 것처럼 오랜 체험에서 얻은 어부의 용기를 비유하는 말이다.
울릉도 어민이었던 최종덕은 자신의 어업 지식을 기반으로 독도에 정주하여 생활했으며, 독도 최초의 주민이 된 인물로 해당 사자성어를 관통하는 삶을 살았다고 판단해 이와 같은 이름으로 전시회명을 지었다고.
이번 전시는 제 1기 _울릉도 정착기, 제 2기 _독도 적응기를 거쳐 제3기_독도 어업 확장기, 제4기_독도영유권 강화기, 그리고 제5기에선 영원한 독도인 최종덕으로 구획을 나누어 총 5개의 섹션으로 구성되었다.
1925년 5월 1일 평안남도 순안에서 출생한 그는 1930년 가족과 함께 울릉도로 이주한 이후 울릉도 어민으로서 생활하였다. 이 과정에서 발명가이자 개척자로서의 면모를 보이기 시작했으며, 1965년 울릉군 도동어촌계로부터 독도 공동어장 채취권을 획득한 후 본격적인 독도에서의 정주어업을 시행했다.
최종덕은 해녀들을 고용하여 독도에서 미역을 채취하던 기존 어업방식을 포기하고 겨울철 소수의 해녀를 고용하여‘하다카’라고 불리는 일종의 간이잠수기 어업을 통해 소라, 전복, 미역 그리고 문어 등을 어획하여 독도의 어업 관행을 변화시킨 장본인이기도 하다.
또한 서도에 어민보호소라는 이름의 집을 지어 어민들과 생활하여 독도의 실효적 지배를 강화해 갔다.
이 과정에서 독도의 주요 시설물 공사에 적극 참여하면서 독도에 있어 핵심적인 인물로 자리잡았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독도를 한국 어민의 터전으로 만들고 싶었던 그의 꿈은 1987년 갑작스러운 뇌출혈로 쓰러지면서 끝을 맺게됐다.
이번 전시에서는 최종덕의 독도 생활을 보여주기 위하여 어민보호소를 재현하고 구축했으며, 그가 시행했던 간이 잠수기 어업의 실물모형이 전시되어 생동감을 전한다.
그리고 그의 활동상을 보여줄 신문 기사 자료, 다양한 상장 및 훈장증도 전시되며 최종덕과 함께 독도에서 조업한 사공, 해녀 그리고 인부들의 회고 영상도 감상할 수 있다. 이처럼 다양한 자료를 통하여 독도 최초 주민이었던 최종덕의 삶과 활동을 보다 입체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남한권 울릉군수는 “독도 최초 주민이었던 최종덕씨는 독도의 실효적 지배를 상징하는 대표적인 인물로 위험을 무릎쓰고 독도어장을 개발하고 오늘날 독도의 정주기반을 닦은 자랑스러운 울릉인이다”며 “이번 전시를 통해 관람객들이 독도를 지키고자 했던 최종덕의 기상과 의지를 배워가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