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내용 건너뛰기(skip to main content) 본문 바로가기(Go body) 메뉴 바로가기(Go Menu)
G03-8236672469

대구시, 3년 연속 국비 8조원대 확보 ‘청신호’

NSP통신, 장석 기자, 2025-08-29 18:04 KRX7
#대구시 #정부예산안 #대구경북신공항 #AI·로봇·바이오·모빌리티 #김정기권한대행

투자사업 기준 전년 최종예산 대비 약 6% 증가한 역대 최대 4조 2754억원 반영
AI·교통·문화·관광·안전 등 전 분야 국비 대거 확보로 미래성장 발판 마련
투자사업 국비 목표 4조 3600억원 상향...여·야 정치권과 협력해 달성 총력

NSP통신-대구시청 산격청사. (사진 = 대구시)
대구시청 산격청사. (사진 = 대구시)

(대구=NSP통신) 장석 기자 = 대구시는 초유의 권한대행 체제에서도 2026년도 정부예산안에 투자사업 기준 역대 최대인 4조 2754억 원(전년 최종예산 4조 433억 대비 약 6% 증)을 반영하며 복지사업과 교부세를 포함한 국비 8조 원대 확보의 교두보를 마련했다.

이번 결과는 연초부터 수차례 개최한 국비전략 보고회를 통해 신규사업을 체계적으로 발굴·구체화하고 국비확보 전략 수립 후 김정기 대구시장 권한대행을 중심으로 전 직원이 원팀이 돼 중앙부처와 기재부를 직접 방문하며 협의와 설득에 집중한 노력의 결실로 분석된다.

특히 권한대행 체제 전환 이후 대구시는 지방재정협의회(5.21), 제3차 재정정책자문회의(6.18), 민주당 대구시당 당정협의회(6.26), 국정기획위원회 방문(7.10, 7.24), 국민의힘 예산정책협의회(7.25), 경제부총리 예산협의회(8.14) 등 다양한 협의 채널을 총동원해 핵심사업의 당위성과 시급성을 강조하며 중앙정부와 여·야 정치권 설득에 전념해 왔다. 이러한 노력이 이번 정부예산안에 국비 사업이 대거 반영되는 데 결정적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된다.

G03-8236672469

2026년도 정부예산안 주요 반영 사업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지역거점 AX 혁신기술개발(198억원), 국가로봇테스트필드 조성(576억원), 모빌리티 부품 제조AI확산센터 구축(20억원), 로봇기반 공간컴퓨팅 창업지원(15억원), 뇌 오가노이드 상용화 플랫폼 구축(10억원) 등이 반영돼 대구의 연구개발 인프라가 한층 고도화되고 지역 산업 전반의 혁신 역량이 강화된다. 이를 통해 양질의 일자리 창출과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앞당기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전망이다.

대구산업선철도 건설(1918억원), 대구경북신공항(민간공항) 건설(318억원), 조야~동명간 광역도로 건설(300억원), 달빛철도 건설(85억원), 금호워터폴리스 산단 진입도로 건설(67억원) 등이 반영되면서 지역 간 접근성을 크게 개선하고 물류·산업 경쟁력을 강화해 대구가 동북아 물류·교통 허브로 성장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했다.

디아크 문화관광 활성화(46억원), 대구글로벌웹툰센터 조성(28억원), 대구국제뮤지컬페스티벌(17억원), 경상감영 복원정비(11억원), 달성토성 복원정비(6억원) 등이 반영돼 관광명소 조성, 콘텐츠 산업 육성, 문화유산 복원을 아우르게 됐다. 이를 통해 대구의 도시브랜드 가치를 한층 높이고 전통과 미래가 공존하는 살고 싶은 글로벌 문화도시로 도약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하수관로 정비(507억원), 오수간선관로 설치(201억원), 대구철도통합무선망(LTE-R) 구축(56억원), 지하시설물 DB 정확도 개선(9억원), 금호강 하천 조성(151억원), 금호강 고모지구 하천환경 정비(87억원), 금호강수계 비점오염저감(3억원), 명복공원 현대화(80억원), 하중도 친수공간조성 및 명소화(4억원) 등 시민 안전과 생활환경 개선을 위한 국비 사업이 다수 반영됨에 따라 재난과 환경 위험 대응 역량이 강화되고 쾌적하고 안전한 도시환경 조성으로 시민 삶의 질과 행복 증진에 크게 기여할 수 있게 됐다.

대구시는 현 정부의 확장적 재정정책 기조에 맞춰 투자사업 국비 목표를 전년 대비 8% 증가한 4조 3600억 원으로 상향 조정했다. 또한 국회의 예산 심의 과정에서 중앙부처 및 여·야 정치권과 지속적으로 협력해 주요 국비사업이 최종 정부 예산에 반영될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할 계획이다.

김정기 대구시장 권한대행 행정부시장은 “이번 정부예산안에 미래 신산업, 교통인프라, 문화·관광, 시민 안전 등 시의 핵심사업을 반영해 준 정부 관계자에게 우선 감사드리며 이러한 성과는 대구시 모든 공직자가 하나로 힘을 모은 결과”라며 “국회 예산 심의가 끝나는 순간까지 국비 사업이 최대한 추가 반영될 수 있도록 전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G03-82366724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