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내용 건너뛰기(skip to main content) 본문 바로가기(Go body) 메뉴 바로가기(Go Menu)
G03-8236672469

경기도민 89% “기후위기 심각”…10명 중 7명 경기도 선도정책에 높은 지지

NSP통신, 윤미선 기자, 2025-09-10 11:02 KRX7
#경기도 #김동연 #기후위기 #기후정책 #기후행동기회소득

김동연 “경기도 선도정책 경험과 데이터를 중앙정부·국제사회 나누면서 세계의 기후행동 이끌겠다”

NSP통신-기후위기 인식 및 대응 필요성 그래픽. (이미지 = 경기도)
기후위기 인식 및 대응 필요성 그래픽. (이미지 = 경기도)

(경기=NSP통신) 윤미선 기자 = 경기도민 10명 중 9명이 기후위기를 심각한 사회문제로 받아들이고 있으며, 정부와 지자체의 적극적 대응을 요구한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경기도가 지난달 7일부터 11일까지 만 18세 이상 도민 2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응답자 89%가 기후위기를 ‘심각하다’고 답했다. 56%는 ‘매우 심각하다’는 인식을 가진 것으로 확인됐다.

중앙정부와 지자체 차원의 적극적 대응 필요성에 대해서는 90%가 공감했다. 65%는 ‘매우 필요하다’고 강조해 도민들의 위기의식과 높은 정책적 요구가 확인됐다.

G03-8236672469

경기도가 지난 3년간 추진해 온 기후정책에 대한 평가는 긍정적이었다. 도민 과반 이상인 57%가 긍정평가를 내렸고, 부정평가는 30%였다. 경기도는 기후위기를 단순한 환경 문제를 넘어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경제 문제이자 성장 전략으로 여기고 ‘기후경제’ 관점에서 정책을 추진하고

기후행동 기회소득·경기RE100 등 주요 정책 모두 70% 안팎 높은 공감대

NSP통신-기후정책 전반적 평가 그래픽. (이미지 = 경기도)
기후정책 전반적 평가 그래픽. (이미지 = 경기도)

구체적 정책별로는 ‘기후행동 기회소득’이 80%로 가장 높은 지지를 받았다.

이어 ▲경기RE100(78%) ▲기후보험(74%) ▲기후펀드(72%) ▲기후위성(67%) 순으로 모든 정책이 70% 안팎의 높은 공감대를 형성했다.

전국 확산을 희망하는 정책으로는 경기RE100(26%)이 1위를 차지했고 ▲기후행동 기회소득(21%) ▲기후보험(14%) ▲기후펀드(12%) ▲기후위성(9%) 등이 뒤를 이었다. 이들 정책은 모두 경기도가 전국 최초로 도입했거나 추진 중인 사업들이다.

도민 절반(50%)은 경기도 기후정책이 중앙정부나 다른 지자체와 차별성이 있다고 평가해 ‘그렇지 않다’는 응답(39%)을 웃돌았다.

경기도 선제적 기후위기 대응 정책, 중앙정부 기후정책 밑거름 기대

NSP통신-기후정책 차별성 전국확산 기대정책 그래픽. (이미지 = 경기도)
기후정책 차별성 전국확산 기대정책 그래픽. (이미지 = 경기도)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최근 청정대기 국제포럼에서 “경기도는 공공부문 RE100, 기후행동 기회소득, 기후보험 등 전국 최초의 기후정책을 추진해왔다”며 “앞으로도 기후위성, 기후펀드 등 경기도 선도정책의 경험과 데이터를 중앙정부와 국제사회에 나누면서 세계의 기후행동을 이끌겠다”고 밝힌 바 있다.

차성수 경기도 기후환경에너지국장은 “도민들의 높은 위기의식과 정책적 요구를 확인했다”며 “경기도가 선제적으로 추진해 온 기후위기 대응 정책들이 중앙정부 기후정책의 밑거름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번 조사는 만 18세 이상 경기도민 2000명 대상 휴대전화 가상번호를 활용한 전화면접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2.2%p다.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G03-82366724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