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NSP통신) 조이호 기자 = 강원특별자치도(도지사 김진태)가 12일 글로벌본부 대회의실에서 경제부지사 주재로 ‘강릉 가뭄 대응 민생경제 회복 긴급 대책회의’를 열고 지역경제 피해 최소화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회의는 지난달 30일 강릉시에 재난사태가 선포되고 제한급수가 본격화된 이후, 지역 전반에 미치는 부정적 파장을 줄이기 위해 마련됐다. 회의에는 경제·산업·하천·관광·해양수산 등 6개 국이 참석해 피해 현황을 공유하고 단계별 지원 대책을 협의했다.
경제 분야에서는 공업용수 공급 전담 TF팀을 가동하고, 인근 시군 정수장을 활용해 기업별 용수를 지원하기로 했다. 또한 100억 원 규모의 재해재난기업 특별자금과 소상공인 긴급경영안정자금 지원을 추진하며 지역 소비 활성화를 위해 지역사랑상품권 할인율을 현행 13%에서 최대 18%까지 확대하는 방안도 행정안전부와 협의 중이다.
산업 분야에서는 산업단지별 물 사용 현황을 조사해 피해 발생 시 신속히 대응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한다. 발전소 단수 시에는 해수 담수시설을 활용해 공업용수를 긴급 공급한다는 방침이다.
하천 분야에서는 강릉시 내 21개 지방하천의 취수 현황을 점검하고 하천수 일시 사용허가 등 행정 절차를 적극 지원하기로 했다. 취수원 고갈이 우려될 경우 인근 시군과 협력해 대체 취수원 확보도 나선다.
관광 분야는 ‘가뭄 도시’라는 부정적 이미지 확산으로 인해 올해 방문객 증가율이 2.7%에 그친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따라 SNS 이벤트를 통한 당일치기 여행 장려, 청정 강릉 이미지 홍보 강화 등 관광 수요 회복 전략을 추진할 계획이다.
해양수산 분야는 양식장·수산가공업체의 직접 피해는 크지 않지만 관광객 감소로 인한 수산물 판매 부진이 예상돼 할인판매와 판촉행사를 확대하기로 했다. 또한 가격이 적정 수준 이하로 하락하면 수매 지원을 통해 어업인 소득을 보전할 예정이다.
김광래 도 경제부지사는 “이번 회의는 강릉 가뭄으로 인한 경제적 충격을 최소화하고 주민 생활과 지역 산업 피해를 줄이기 위한 자리”라며 “분야별 협력과 신속 대응으로 지역경제 안정화와 민생경제 회복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오는 15일에는 강릉상공회의소에서 중소기업·소상공인과의 간담회를 열어 현장의 목소리를 청취하고 추가 지원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