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내용 건너뛰기(skip to main content) 본문 바로가기(Go body) 메뉴 바로가기(Go Menu)
G03-8236672469

데스크칼럼

촉발된 평창동계올림픽 분산개최 답은 없는가?

NSP통신, 고달영 기자, 2015-04-02 09:32 KRD5
#2018평창동계올림픽 #환경 #시민단체 분산개최 한 목소리

남북간, 지역간 분산개최 통한 균형적 국제감각 인식 대전환 필요

NSP통신-고달영 전북취재본부 부국장
고달영 전북취재본부 부국장

(전북=NSP통신) 고달영 기자 = 최근 평창동계올림픽 분산개최 목소리가 의식있는 환경,시민단체들이 중심이 돼 적극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국내 50여개 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2018평창동계올림픽 분산개최를 촉구하는 시민모임’이 나서 ‘단독 고집 땐 빚더미, 납세자를 무시하는 위험한 발상, 직무유기 등’ 파상적 질타뿐만 아니라 정부, 정치권도 책임져야 한다고 고강도의 주문이 잇따른다.

심지어 일부 체육계 원로들도 한 목소리로 자성을 촉구하고 나선다.

G03-8236672469

늦었지만 다행으로 본다. 물론 어렵게 삼수 끝에 유치한 올림픽을 성공적으로 잘 치러내야 한다는 이론은 없다. 하계뿐만 아니라 성공적 동계올림픽으로 국제적 스포츠 강국과 당당한 반열에 우뚝 솟는 계기마련과 국제적 위상 역시 무시할 수 없다.

하지만 성공적 유치를 기반으로 대회 진행후 결산시 자국민들의 자긍심과 함께 세계인들도 긍정적으로 인정하는 그런 역사의 한 획을 긋도록 새겨봐야 한다.

자칫 머지않아 불을 보듯 예견된 탄식의 소리와 후회없는 한 판 멋진 스포츠 경기를 보는 관전포인트를 잡아야 한다는 사명감 또한 올림픽 유치이상으로 강조되는 중요 대목이 아닐까 본다.

다행히 강원도 정치권 최일선에서 ‘과연 이대로 치러야 하는가?’란 자성의 목소리가 고무적으로 들리고 있다. 가뭄속 한 줄기 빗줄기같은 단비다. 최문순 강원도지사 및 김시성 도의회 의장 등은 고민의 연속선상에서 고뇌의 찬 모습을 보이고 있다. 더욱 역사의 주인의식과 올림픽 프로 정신으로 더욱 무장돼야 한다. 후일 역사가 실패하고 후세에 고통주는 실패한 리더로 평가되선 안된다는 점이다.

다만, 기필코 성공적인 대회를 이끌어 내야하는 조직위원회측은 좀 더 계산이 다를 게다. 하지만 실질적 대회준비에 여념이 없는 2018평창동계올림픽측과 조양호 위원장은 더 이상 분산개최 불가방침에 대한 아집을 버려야만 한다.

2018평창동계올림픽은 강원도만이 아닌 대한민국 전체를 대표하는 국제대회다. 조직위와 조 위원장은 역대 동계올림픽 고찰을 통한 선진 스포츠 강국들의 실체적 진실을 거울삼아 더 이상의 시행착오를 하지 말아야 한다.

비록 강원도 동계올림픽을 성공적으로 치뤘다 하더라도, 그에 따른 1조원의 재정적자는 고스란히 국민의 혈세 및 지방재정의 파탄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하계올림픽 이후 최초의 동계올림픽 흑자대회 신기록 달성과 자국민들의 자긍심을 북돋우는 명실상부한 국제대회가 돼야 한다는 극히 원론적인 논리의 마인드 제고가 적극 필요한시기라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한다.

평창 동계올림픽은 세계인의 축제, 대한민국의 축제임이 분명하다. 하지만 이 축제가 국고를 낭비하는 축제가 돼서는 안 된다. 반드시 지역경제 활성화와 나아가 국고를 살찌우는 축제가 돼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이윤을 남기기 위한 처절한 기업마인드가 필요하다. 조 위원장은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을 바로 이 기업마인드를 갖고 고민하고 바라봐야 할 것이다.

IOC조직위원회와의 충실한 약속이행도 중요하지만 이 기회를 통해 작고 강한 대한민국 속 알프스 실현을 바라는 대다수 국민들의 열망을 애써 외면하지 말길 촉구해 본다.

2018 평창동계올림픽은 성공적인 국제대회로 국민들에게 영원히 기억돼야 한다. 그러기 위해 조 위원장과 조직위는 국민 대다수가 남북간, 지역간 상생의 분산개최를 바란다면 이를 위해 노력해야 하는게 마땅한 일이다. 이 대회는 IOC도 정부도 아닌 온 국민의 축제이기 때문이다. 조 위원장과 조직위의 현명한 결단이 필요한 시점이다.

고달영 전북취재본부 부국장

NSP통신/NSP TV 고달영 기자, gdy6000@nspna.com
저작권자ⓒ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