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내용 건너뛰기(skip to main content) 본문 바로가기(Go body) 메뉴 바로가기(Go Menu)
G03-8236672469

경북도, 종가문화 소통의 장 ‘2019 종가포럼’ 개최

NSP통신, 조인호 기자, 2019-09-24 18:14 KRD7
#경상북도 #한국국학진흥원 #종가포럼 #대한민국임시정부 #태극기

근·현대를 이어온 종가(宗家)의 전통 되돌아보는 자리 마련

NSP통신- (경상북도)
(경상북도)

(경북=NSP통신) 조인호 기자 = 경상북도는 24일 오후 2시 도청 동락관에서 한국국학진흥원과 함께 ‘2019 종가포럼’을 개최했다.

이날 포럼은 ‘근·현대를 이어온 종가(宗家)의 전통’이라는 주제로 도내 종손·종부는 물론, 유림단체, 학계 관계자 등 800여명이 참석했다.

올해 행사는 3.1운동과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기념해 일제강점기와 해방의 격동기를 거치며 국권 회복과 가문의 재건을 위해 헌신해온 종가의 사회적 가치를 재조명하기 위한 취지로 기획됐다.

G03-8236672469

특히 전시행사로 독립운동에 헌신한 종가의 자료 50여 점이 선보였다.

보종(保宗)에 앞서 보국(保國)에 힘쓴 종가들의 ‘독립운동에 앞장 선 명가(名家)의 후예들’이라는 주제로 한국국학진흥원과 경북독립운동기념관, 그리고 종가에 소장되어 그동안 공개되지 않았던 자료들이 전시됐다.

또 기념행사에서는 선비 정신을 계승하고자 상해와 항주 임시정부 답사를 다녀온 차세대 청년(대학생) 선비들이 독립운동의 현재적 의미를 되짚어 보는 다큐영상을 상영했다.

특히 이번 포럼의 큰 성과라 할 수 있는 경북-경기 종가 간에 MOU를 체결해 향후 전국적인 종가문화협의체 구성에 한걸음 다가서는 계기로 삼았다.

특별공연으로 프로젝션 맵핑 공연의 화려한 무대 연출, 전통과 현대를 아우른 어바웃클래식 청년 선비포럼 합창단의 클래식 총체극은 관객들을 눈물짓게 하는 감동의 시간이 됐다.

‘일제 강점기 종가의 독립운동과 21세기 사회적 역할’이라는 주제로 진행된 학술행사는 김희곤 경북독립운동기념관장과 김준혁 한신대학교 교수가 경북과 경기 지역 종가의 독립운동에 대해 열띤 강연을 펼쳤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어려운 현실 여건에도 불구하고 고유한 정신과 전통을 올곧이 지켜 오신 종손․종부님들의 노고에 감사드리며, 전통문화의 의미와 가치를 되새기는 소중한 자리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경상북도는 앞으로 전국의 종가를 연계하는 종가문화 네트워크 구축과 더불어 종가문화를 세계적인 명품브랜드로 육성하는데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전시행사에 3.1만세운동과 8.15광복 기념에 사용된 것으로 전해지는 태극기 2점 원본이 최초로 공개됐다.

3.1만세운동에 쓰인 태극기는 오회당(五懷堂) 남상룡(南相龍, 1887~1955)이 1919년 안동군 임동면 챗거리에서 만세시위에 사용했다고 전하며, 다른 하나는 광산 김씨 탁청정공파(濯淸亭公派)의 문중에서 8.15해방을 기념해 제작한 태극기로, 2018년부터 한국국학진흥원에 기탁·보관하고 있다.

이번 종가포럼에서 공개된 태극기는 지역과 문중을 기반으로 항일 독립운동이 전개된 경북지역의 특성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자료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며, 경술국치 후 자결 순국한 안동 김씨 양소당의 김택진(金澤鎭, 1874~1910)과 학봉종손인 파락호 김용환(金龍煥, 1887~1946)의 유품, 그리고 심산 김창숙(金昌淑, 1879~1962)선생의 친필 병풍도 함께 공개됐다.

NSP통신 조인호 기자 eno8166@nspna.com
저작권자ⓒ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G03-82366724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