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내용 건너뛰기(skip to main content) 본문 바로가기(Go body) 메뉴 바로가기(Go Menu)
G03-8236672469

경주 남산 장창곡, 제10사지 묘지이장... 옛 절터 모습 되찾아

NSP통신, 권민수 기자, 2020-12-03 15:08 KRD7
#경주시 #경주국립공원공단 #경주 남산 장창곡 제10사지 정비

자발적 묘지이장, 경주 남산 역사·문화경관 회복 가속화

NSP통신-경주 남산 장창곡 석조미륵여래삼존상 국립경주박물관 전시 모습. (경주국립공원공단)
경주 남산 장창곡 석조미륵여래삼존상 국립경주박물관 전시 모습. (경주국립공원공단)

(경북=NSP통신) 권민수 기자 = 국립공원공단 경주국립공원사무소는 최근 보물 제2071호로 지정된 경주 남산 장창곡 석조미륵여래삼존상의 출토지에 들어선 묘지 2기를 이장했다.

일제강점기인 1925년에 석실에 있던 남산 장창곡 석조미륵여래삼존상를 남산에서 국립경주박물관으로 옮겼다. 불상이 있던 자리에는 국립공원 지정 이전인 1959년에 묘지가 들어섰다.

경주국립공원사무소의 남산 묘지이장 사업의 노력과 묘주의 자발적 이장으로 올해 장창곡 제10사지의 역사적 가치를 복원했다.

G03-8236672469

경주국립공원사무소는 무덤이 빠져나간 장창곡 제10사지에 보호시설과 안내판을 설치해 주민과 탐방객에게 이곳의 역사적 의미와 가치를 알리고 추가적인 훼손을 막을 계획이다.

NSP통신-경주 남산 장창곡 석조미륵여래삼존 출토지 묘지 2기 이장 전, 후(우측) 모습. (경주국립공원)
경주 남산 장창곡 석조미륵여래삼존 출토지 묘지 2기 이장 전, 후(우측) 모습. (경주국립공원)

경주국립공원 경관복원 사업은 2011년에 시작하여 올해로 10년이 됐다. 10년간 37억원을 들여 936기를 이장했고 이중 절터에 들어선 분묘는 76건 약 8%에 달한다.

올해는 경주 남산이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지 20주년 되는 해이다. 묘지이장 사업은 국립공원이자 세계유산인 남산의 지속적인 보전과 가치를 높이기 위한 것으로 국립공원 내 역사적으로 가치가 높은 핵심지역의 경관을 개선하는 성과를 이뤄내고 있다.

서영각 경주국립공원사무소 문화자원과장은 “앞으로 묘지이장 사업의 홍보를 강화하여 국립공원이자 사적이며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경주 남산의 역사·문화경관을 보전하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현재 경주국립공원사무소에서 분묘이장 희망자 상담과 현장조사 신청을 접수받고 있으며 자세한 내용은 경주국립공원사무소로 문의하면 된다.

NSP통신 권민수 기자 kwun5104@nspna.com
저작권자ⓒ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G03-82366724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