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내용 건너뛰기(skip to main content) 본문 바로가기(Go body) 메뉴 바로가기(Go Menu)
G03-8236672469

공정위, 담합 과징금 부과사건 중 98.8% 과징금 감경

NSP통신, 맹상렬 기자, 2013-10-14 13:29 KRD7
#공정위 #담합 #과징금 #감경 #성완종
NSP통신- (성완종 국회의원실)
(성완종 국회의원실)

[충남=NSP통신] 맹상렬 기자 = 최근 3년간 공정거래위원회가 담합(부당한 공동행위)으로 과징금을 부과한 사건 가운데 단 1건을 제외한 모든 사건들이 기본과징금을 감경받은 것으로 나타나면서, 공정위가 과징금 산정시 적용하는 감경항목이 지나치게 다양하고, 임의적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성완종(새누리당, 충남 서산태안) 의원이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3년간 공정위가 담합으로 과징금을 부과한 사건(84건) 중에서 무려 83건(98.8%)이 위원회에서 의결한 기본과징금을 감경받았고, 기본과징금에서 과징금이 가중된 담합 사건은 단 1건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최근 3년간 담합(부당한 공동행위)로 위원회에서 의결한 기본과징금에서 감경된 액수만 해도 2조 4500억 원에 달한다.

G03-8236672469

감경액이 큰 상위 10개 기업에는 대한생명보험를 제외하고는 모두, SK, E1, S-OIL, GS칼텍스, 현대오일뱅크 등 에너지 관련 기업이었다.

「과징금부과 세부기준 등의 관한 고시」에 따르면, 과징금은 기초금액에서 위반행위 중복횟수에 따른 조정(1차조정), 위반사업자의 고의과실에 따른 조정(2차조정), 위반사업자의 납부능력에 따른 조정(부과과징금)의 3차례의 조정을 통해 부과과징금이 결정된다.

성 의원은 “과징금 산정시 감경요소가 많을 경우 관련기업은 과징금액을 예상하여, 위법행위에 대한 사전적 방지노력을 기울이기보다 감경을 통해 제재정도를 줄이려고 노력하게 된다”고 지적하고, “과징금액 산정기준에 감경요소가 많을수록, 과징금액의 정도는 공정거래위원회의 판단에 종속되는 정도가 심화되기 때문에 공정위의 감경 사유를 대폭 정비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맹상렬 NSP통신 기자, smartre@nspna.com
<저작권자ⓒ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G03-82366724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