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내용 건너뛰기(skip to main content) 본문 바로가기(Go body) 메뉴 바로가기(Go Menu)
G03-8236672469

주승용, ‘세계 물의 날’···빗물 자원화 강조

NSP통신, 홍철지 기자, 2014-03-23 00:26 KRD7
#주승용

- ‘물 순환 도시의 조성 촉진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제정안 대표 발의

(전남=NSP통신 홍철지 기자) = 전남도지사 출마를 선언한 민주당 주승용 의원은 22일 ‘제22회 세계 물의 날’을 맞아 물 부족 시대 극복을 위해 ‘빗물의 자원화’를 강조했다.

국내 수자원 분야를 소관으로 하는 국회 국토교통위원장을 맡고 있는 주 의원은 버려지는 빗물을 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한 법적 기반 마련 차원에서「물 순환 도시의 조성 촉진 및 지원에 관한 법률」제정안을 지난 2월 10일 대표발의 하는 등 ‘빗물 자원화’에 앞장서고 있다.

빗물은 지표면에 침투돼 지하수와 하천을 거쳐 바다로 흘러가고 대기로 증발하여 다시 비로 내리는 등 자연 물 순환 체계를 형성한다.

G03-8236672469

그러나 도시 개발로 인한 도로 포장과 건축 등으로 인해 물이 스며들 수 없는 도시의 불투수층(不透水層)이 증가하여 빗물이 지표면에 흡수·침투되지 못함에 따라 도시의 자연 물 순환 체계가 왜곡되고 있는 실정이다.

실제로 현재 우리나라는 연중 내리는 빗물 가운데 27%만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비가 내리는 시기가 집중되고, 물을 오랫동안 가둘 수 있는 지형이 아니라서 훌륭한 천연자원을 그대로 버리고 있는 것이다.

이에 주 의원은 “물은 이제 더 이상 물 쓰듯 사용할 수 있는 자원이 아니다. UN은 2004년부터 우리나라를 물 부족국가로 분류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국제인구행동연구소 발표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물 스트레스 국가’ 조사 대상 153개국 중 129위에 불과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가뭄으로 급수 중단사태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전남 도서지역의 식수난 해결을 위해 빗물은 매우 유용한 자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우기 때 집중적으로 쏟아지는 빗물을 받아 건기 때 쓸 수 있는 빗물 저장시설(빗물 저금통) 설치 등 항구적인 물 관리 대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생태친화적인 빗물 관리로 안전하고 쾌적한 전남을 조성하고 통합 물 관리로 물 자급률을 20% 끌어올리겠다”고 말했다.

또 “비닐하우스·축산농가의 화재방지·가뭄대비를 위해 ‘빗물 저금통(10톤)’을 보급하는 등 다양한 빗물 자원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desk3003@nspna.com, 홍철지 기자(NSP통신)
<저작권자ⓒ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G03-82366724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