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내용 건너뛰기(skip to main content) 본문 바로가기(Go body) 메뉴 바로가기(Go Menu)
G03-8236672469

평생 동안 플랑크톤 2419종 찾아낸 집념의 교수

NSP통신, 윤민영 기자, 2015-08-18 14:10 KRD7
#부경대 #플랑크톤 #미래창조과학부 #해양수산부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한국을 미세조류 종 5대 보유국으로 견인한 허성범 부경대 교수.

NSP통신-허성범 부경대 교수. (부경대 제공)
허성범 부경대 교수. (부경대 제공)

(부산=NSP통신) 윤민영 기자 = 지난 30여 년간 전국 연안 구석구석을 다니면서 플랑크톤 2419종을 찾아낸 한 과학자의 집념이 화제다.

주인공은 지난 2월 퇴임한 부경대학교 허성범 교수(66·해양바이오신소재학과).

양식생태학 전공인 허 교수는 1982년 부경대에 부임하면서 미세조류인 플랑크톤 종(種) 분리에 국내 처음으로 도전해 최근까지 모두 2419종을 채집 분리해냈다.

G03-8236672469

이로써 미세조류 연구 불모지였던 우리나라는 미국 영국 독일 일본에 이어 세계 5대 미세조류 종 보유국이 됐다.

미세조류는 최하위 먹이생물이라는 막중한 위치를 가진 생물이다.

허 교수가 미세조류 분리를 시작한 것은 어류 등을 양식하려면 이들의 먹이인 미세조류의 종을 찾아내 길러야했기 때문이다.

최근 미세조류는 더욱 각광받고 있다.

미세조류에서 석유를 뽑아내는 연구를 비롯 신약, 건강보조식품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런 연구를 위해 각 대학을 비롯 기업, 병원 등의 연구진들은 허 교수가 운영하는 한국미세조류은행의 미세조류를 받아쓰고 있다.

그런데 미세조류의 종을 분리하는 일은 여간 까다로운 일이 아니다.

크기가 2∼3 미크론(μ)에 불과해 눈에 보이지 않는 세계에 있기 때문이다. 먼저 채집해온 해수나 담수를 현미경에 올려놓고 미크로피펫이라는 정밀한 기구로 한 개의 종을 분리한 다음 항생제로 세균을 제거해야한다.

또 이 종이 죽지 않도록 1∼4개월마다 새로운 배지로 옮겨야한다.

한 개의 종을 순수 배양하는 데 평균 6개월이나 걸린다.

많은 시간과 열정이 필요한 이 연구의 미래 가치를 인정해 미래창조과학부는 1995년부터 지금까지 20년 동안이나 국가지정연구소재은행으로 지정해 허 교수의 연구를 지원해왔다.

10㎖짜리 시험관 안에서 한 종씩 자라고 있는 2419종의 미세조류는 요즘 이사 준비에 바쁘다.

국내 유일의 이 희귀 연구물은 허 교수의 정년퇴임으로 부경대에서 해양수산부 산하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으로 조만간 이전될 예정이기 때문.

교수 한 사람의 필생의 연구가 국가로 고스란히 옮겨가 계속 이어지는 사례는 이번이 처음이다.

허 교수는 “그동안 연구실에서 부숴먹은 현미경만 5∼6대 정도는 족히 될 것”이라며, “힘들고 시간 많이 드는 기초는 쌓았으니까 후손들은 고생 좀 덜 하고 더 진보된 연구를 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며 환하게 웃었다.

NSP통신/NSP TV 윤민영 기자, yoong_jn@nspna.com
저작권자ⓒ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G03-82366724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