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내용 건너뛰기(skip to main content) 본문 바로가기(Go body) 메뉴 바로가기(Go Menu)
G03-8236672469

수원시, 민선 6기 3주년 인권도시 위상 높여

NSP통신, 조현철 기자, 2017-07-04 16:19 KRD7
#수원시 #수원 #민선6기 #인권도시 #염태영
NSP통신-염태영 수원시장(오른쪽 첫번째)이 수원시글로벌청소년드림센터에서 케이크 만들기를 하는 모습. (수원시)
염태영 수원시장(오른쪽 첫번째)이 수원시글로벌청소년드림센터에서 케이크 만들기를 하는 모습. (수원시)

(경기=NSP통신) 조현철 기자 = 민선 6기 3년은 경기 수원시가 인권 도시로서 위상을 공고하게 다진 시기였다. 사회적 약자와 가난하고 소외된 이들에게 관심을 기울이고 그들을 따뜻하게 보듬었다.

지난 2015년 5월 문을 연 수원시 인권센터는 시민, 특히 사회적 약자의 인권 신장에 크게 이바지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민간 전문가 출신 시민인권보호관 3명이 시와 소속 기관, 출자·출연기관, 시의 지원을 받는 복지시설 등에서 발생한 인권 침해 사안을 조사하고 인권 침해 여부를 판단한 후 시장에게 시정을 권고하는 역할을 한다. 그동안 접수된 상담·진정이 100건이 넘는다.

G03-8236672469

◆사회적 약자 돌보고, 저개발국 지원

인권센터는 지난 대선을 앞두고 처음으로 투표소 인권영향평가를 시행해 장애인, 노약자, 임산부 등 사회적 약자들의 투표권 보장에 앞장서기도 했다. 지난달 1~2일에는 전국 지방자치단체에서 인권구제업무를 담당하는 인권전문가들이 모여 인권구제업무 경험을 공유하고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인권토론회를 열었다.

낯선 곳에서 적응에 어려움을 겪는 이주민들은 시민의 한 사람으로 자립할 수 있도록 도왔다.

지난해 5월에는 이주배경 청소년들에게 교육·자립·정서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수원시글로벌청소년드림센터를 열었다. 수원시외국인복지센터는 외국인 주민의 안정적 정착을 돕는 30여 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가난하고 소외된 이들에 대한 시의 관심은 국내에만 머물지 않는다. 캄보디아 등 저개발국을 대상으로 ODA(공적 개발원조) 사업을 꾸준히 전개하고 있다. 지난 2004년 캄보디아 시엠립주와 국제자매결연을 체결한 시는 지난해 프놈끄라움 수원마을에 수원 중·고교를 건립해 현지 아이들에게 교육 받을 기회를 마련해줬다.

세계화장실협회와 함께 개발도상국 도시에 공중화장실을 지어주는 사업도 펼치고 있다. 지난 2014년 계획을 수립, 그해 12월에 라오스 방비엥에 첫 화장실을 건립했고 이듬해에는 라오스 비엔티엔과 캄보디아 시엠립주 앙코르와트 인근에 화장실 만들었다. 지난해에는 베트남 하노이와 캄보디아 바탐방에 화장실을 건립했다.

◆ 지속 가능한 도시 만들기 앞장서

후손에게 물려줄 지속 가능한 도시를 만들기 위한 노력도 계속했다. 지난 2014년 환경교육 시범 도시를 선언하고 시민, 특히 어린이들에게 환경 보호의 중요성을 일깨워줄 수 있는 다양한 정책을 추진했다.

두드림 기후변화체험관, 생태환경 체험교육관, 환경성질환아토피센터 등 환경 인프라(기반시설)를 활용해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올해는 수원 이동환경교실버스를 운영하며 찾아가는 환경교육을 하고 있다.

지구온난화의 주원인인 온실가스 감축에도 뚜렷한 성과를 내고 있다. 시의 2016년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결과 분석에 따르면 2016년 온실가스 배출량은 15만3277톤으로 기준 배출량보다 1만994톤, 할당량보다 1996톤 적었다. 기준 배출량은 지난2011~2013년 시 온실가스 배출량의 평균이고 할당량은 환경부가 산정해 할당한 온실가스 배출량을 말한다.

소각 쓰레기·음식물쓰레기 감량 정책이 온실가스 감축에 큰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소각 쓰레기는 12.7%, 음식물쓰레기는 23.1% 감축했다. 2년간 소각 쓰레기를 줄여 감축한 온실가스는 1만9668톤에 이른다.

시는 민선 6기 시민 약속사업으로 레인시티 수원 시즌 2 조성사업을 선정했다. 빗물을 재활용하는 레인시티 사업을 전개해 곳곳에 빗물 이용시설을 설치했고 빗물 8만8000여 톤을 저장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들었다.

지난해 10월에는 수원시지속가능도시재단이 출범했다. 지속가능도시재단은 경제 성장·사회 안정과 환경 보전이 균형을 이루며 성장할 수 있는 지속 가능한 수원시를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한다.

◆ 범죄, 감염병으로부터 안전한 도시 만든다

시민들에게 꼭 필요한 일상 밀착형 정책도 다양하다. 낙후된 마을 환경을 개선하는 안전마을 사업을 지속해서 전개해 지난해 12월 제6회 어린이안전대상 국민안전처장관상, 제1회 대한민국범죄예방대상 셉테드(CPTED) 활동 경찰청장상을 잇달아 받는 등 안전 정책의 성과를 대외적으로 인정받았다.

지난 2005년 메르스 사태 이후에는 감염병 전담부서를 신설하고 공공 전문인력을 양성했다.

또 수원시 4개 종합병원과 한국식 병문안 문화 개선을 위한 협약을 체결하는 등 감염병 안전도시를 만들어가고 있다.

NSP통신/NSP TV 조현철 기자, hc1004jo@nspna.com
저작권자ⓒ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G03-82366724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