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내용 건너뛰기(skip to main content) 본문 바로가기(Go body) 메뉴 바로가기(Go Menu)
G03-8236672469

분당서울대 “독거노인, 약물 정확한 지식으로 신뢰하며 복용해야”

NSP통신, 김병관 기자, 2018-02-12 14:43 KRD7
#분당서울대병원 #이기헌 #독거노인 #복약순응도 #박화연

이기현, 박화연 교수팀...성남시 65세 이상 독거노인 전수조사

NSP통신-분당서울대병원 이기헌(왼쪽), 박화연 교수. (분당서울대병원)
분당서울대병원 이기헌(왼쪽), 박화연 교수. (분당서울대병원)

(경기=NSP통신) 김병관 기자 =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8월 기준 혼자 사는 65세 이상 노인 수가 130만명에 달한다고 한다.

이러한 독거노인은 가족들의 돌봄을 받을 수 없어 건강한 상태를 유지하기가 남들보다 어렵고 이에 따라 고혈압, 당뇨 등의 만성질환을 앓게 될 확률이 더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실 만성질환은 진단 이후 어떻게 관리하는지에 따라 예후가 크게 달라질 수 있어 평소에 생활습관 조절과 약물 요법으로 꾸준히 관리해야 한다.

G03-8236672469

특히 전문가의 지시에 따라 적절히 약을 복용하는 복약 순응도를 높이는 것이 중요하지만 독거노인들은 여러 가지 이유로 이러한 지도를 따르기 어려워해 부작용을 앓게 되거나 치료가 쉽게 되지 않는 경우가 빈번하다.

이에 경기 분당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이기헌 교수 연구팀은 독거노인의 복약 순응도를 높이는 방안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를 진행했다.

지난 2016년 6월부터 8월까지 성남시 독거노인 3326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약에 대한 필요성을 스스로 자각하면서 부작용이나 약물의존 등에 대한 걱정은 적게 하는 이른바 수용적인 태도를 가진 사람들이 복약 순응도가 더 높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연구팀은 수탁운영하고 있는 성남시 방문보건센터를 통해 독거노인의 복약 실태와 복약 순응도를 조사했으며 노인이 약을 필요로 하는 정도와 염려 수준에 따라 수용적, 양가감정, 비판적, 무관심의 네 가지 태도로 분류했다.

그 결과 연구대상의 무려 40.7%(1653명)가 현재 복용중인 약물에 대해 필요성은 느끼지만 걱정은 많이 하고 있는 상태인 양가감정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으며 37%(1230명)는 수용적인 태도를, 11.4%(380명)는 무관심한 태도를 보였다.

약물에 대해 수용적인 태도를 보인 집단은 그렇지 않는 나머지 세 집단에 비해 복약 순응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박화연 분당서울대병원 외래교수는 “연구대상자 절반에 가까운 노인이 약물에 양가감정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들은 약물의 필요성은 알고 있지만 막연한 걱정과 부담감을 갖고 있는 상태이므로 걱정하는 원인을 파악해 해소해주고 약물 요법의 중요성을 알려줄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환자들이 이전에 경험했던 약물 부작용이나 여러 종류의 약물을 복용하는 것에서 오는 심리적 부담감을 염려의 원인으로 꼽았다.

서신애 성남시 방문보건센터 연구원은 “구체적인 설명을 통해 복약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환자가 기존에 복용하고 있는 약의 종류를 파악해 부담을 덜어주는 것이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연구를 주도한 이기헌 분당서울대병원 교수는 “이번 조사에 따르면 성남시 독거노인의 75.1%는 고혈압, 32.5%는 관절염, 29.4%는 당뇨로 약을 복용하고 있다”며 “독거노인의 복약 순응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환자가 약물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신뢰를 가질 수 있도록 국가적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면서 독거노인에 대한 정책적 지원 또한 당부했다.

한편 연구 결과는 저명 국제학술지 ‘환자 선호와 순응도(Patient Preference and Adherence)’ 최신 호에 게재됐다.

NSP통신/NSP TV 김병관 기자, inspect1234k@nspna.com
저작권자ⓒ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G03-82366724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