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내용 건너뛰기(skip to main content) 본문 바로가기(Go body) 메뉴 바로가기(Go Menu)
G03-8236672469

수원시, 인공지능 기술 접목 ‘통합플랫폼’ 구축

NSP통신, 이주현 기자, 2018-10-25 15:32 KRD7
#통합플랫폼 #인공지능 #4차산업혁명 #서비스 #수원

11월까지 통합플랫폼 구축 위한 정보화전략계획 수립

NSP통신-수원시청 전경. (NSP통신 DB)
수원시청 전경. (NSP통신 DB)

(경기=NSP통신) 이주현 기자 = 경기 수원시가 통합플랫폼 구축을 위한 정보화전략계획(ISP)을 수립하고 통합플랫폼에서 제공하게 될 공공서비스 모델을 발굴했다.

수원시는 25일 시청 중회의실에서 통합플랫폼 구축을 위한 정보화전략계획 수립 용역 중간 보고회를 열고 디자인 씽킹 워크숍, 부서 관계자 인터뷰 등을 바탕으로 발굴한 공공서비스 모델(이행과제) 10개를 소개했다.

발굴한 공공서비스 모델은 인공지능 음성인식 서비스, 콜센터 챗봇 서비스, 수원아 걷자 만보기 서비스, 스마트맵 서비스, 스마트투어 서비스, 우리 가족 안심 서비스, 각종 공모전 목록제공, 수원시 아이러브맘카페, 시각장애인 보행 경로·위치 제공 서비스, 자원봉사 매칭 서비스 등이다.

G03-8236672469

인공지능(AI) 음성인식 서비스는 AI(수원시 캐릭터 수원이)를 활용해 디지털 약자(어르신 등)에게 수원시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음성으로 안내해주는 것이다.

스마트폰 앱을 활성화하고 수원시 관련 소식을 물어보면 수원이 AI가 음성으로 대답해 준다. 예를 들어 날씨를 물어보면 “현재 팔달구 OO로 날씨는 맑음이고 온도는 15도 미세먼지는 좋음입니다”라는 답이 돌아온다.

콜센터 챗봇 서비스는 콜센터 업무에 AI를 도입하는 것으로 AI 챗봇(대화 로봇)과 대화로 민원 상담 시간을 예약할 수 있다.

수원아 걷자 만보기 서비스는 만보기 콘텐츠를 활용해 걷기 운동을 하고 걸음 수에 따라 적립한 포인트를 가맹점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수원시가 추진하는 통합플랫폼은 수원시에서 제공하는 대시민 정보·서비스를 어디에서나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 플랫폼이다.

통합플랫폼이 구축되면 버스 출발·도착 정보, 날씨·대기환경 정보, 공공기관 정보 등 수원시가 시민에게 제공하는 모든 정보를 손쉽게 접할 수 있다.

통합플랫폼서비스는 4차 산업혁명 핵심 기술인 ICBM(사물인터넷, 클라우드, 빅데이터, 모바일)과 첨단 지능정보기술을 적용해 시민 중심 맞춤형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한다.

수원시 관계자는 “수원시 통합플랫폼이 시민 눈높이에 맞춘 편리한 서비스가 될 수 있도록 계속해서 보완·발전시키겠다”고 말했다.

NSP통신/NSP TV 이주현 기자, ljh2752@nspna.com
저작권자ⓒ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G03-82366724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