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내용 건너뛰기(skip to main content) 본문 바로가기(Go body) 메뉴 바로가기(Go Menu)
G03-8236672469

영남대병원 안과 연구팀, 국제 학술지 표지 논문 채택

NSP통신, 최병수 기자, 2021-01-11 13:47 KRD7
#영남대학교병원 #대구시

빛간섭단층혈관조영을 이용한 당뇨망막병증 중증도에 따른 망막과 맥락막의 미세혈관 변화 연구 논문

NSP통신-영남대병원 안센터장 사공민 교수 (영남대학교병원)
영남대병원 안센터장 사공민 교수 (영남대학교병원)

(경북=NSP통신) 최병수 기자 = 영남대학교병원(병원장 김성호)은 안과 연구팀(제1저자 류가형 임상교수, 제2저자 김인혜 전임의, 책임저자 사공민 교수)의 '빛간섭단층혈관조영을 이용한 당뇨망막병증 중증도에 따른 망막과 맥락막의 미세혈관 변화' 연구 논문이 최근 독일안과학회 공식학술지이자 SCI급 국제 학술지인 ‘Graefe’s Archive for Clinical and Experimental Ophthalmology’ 2021년 1월호의 표지 논문으로 채택됐다.

당뇨망막병증은 실명을 일으키는 가장 흔한 질환 중 하나로 당뇨 환자에게서 발생하는 시력 저하의 주된 원인은 망막 손상으로 알려져 있으나 최근 당뇨 당뇨맥락막병증 또한 시력 저하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당뇨망막병증과 당뇨맥락막병증 간의 선후관계나 인과관계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G03-8236672469

이번 논문에서 영남대병원 안과 연구팀은 빛간섭단층촬영 혈관조영술을 이용해 당뇨 진행에 따른 망막의 표층 및 심부모세혈관총과 맥락막모세혈관의 영역별 변화를 분석해 당뇨망막병증과 당뇨맥락막병증 간의 연관성을 분석했다.

그 결과 당뇨망막병증이 당뇨맥락막병증에 선행하며 맥락막병증은 망막병증의 진행함에 따라 주변부에서 시작해 후극부로 진행하면서 시력 손상을 가중시킨다는 사실을 보고했다. 그리고 이를 통해 맥락막모세혈관이 망막모세혈관에 비해 당뇨병에 의한 손상에 저항성이 더 강함을 입증했다.

교신저자인 영남대병원 안센터장 사공민 교수는 “당뇨는 다양한 합병증을 유발하기에 더 주의해야 하는 질환이다. 안과 기본 검사인 안저 검사에서 당뇨망막병증이 관찰되지 않더라도 당뇨 조절이 잘 되지 않는 환자들에게서는 미세혈관의 손상이 이미 시작했을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이러한 미세혈관의 변화는 망막혈관 뿐만 아니라 맥락막모세혈관에서도 관찰되어 당뇨 환자에서 다양한 이미지기법을 통한 안과 검사가 필요하다. 또한, 이러한 변화는 안과 의사가 자칫 놓치기 쉬운 주변부 영역에서부터 시작되기 때문에 광범위한 영역에서의 관찰이 중요하다”며, “영남대병원 안센터는 앞으로도 당뇨로 인한 시력 저하로 고통받는 환자의 더 나은 치료를 위해 진료와 연구에 매진하겠다”고 강조했다.

NSP통신 최병수 기자 fundcbs@nspna.com
저작권자ⓒ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G03-82366724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