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내용 건너뛰기(skip to main content) 본문 바로가기(Go body) 메뉴 바로가기(Go Menu)
G03-8236672469

박재순 국힘 수원무 국회의원 예비후보, “고물가 곧 안정화 되니 여러분 힘내세요”

NSP통신, 조현철 기자, 2024-02-15 15:56 KRX7
#수원시국회의원 #박재순물가점검 #박재순노사화합
NSP통신-박재순 국민의힘 수원무 국회의원 예비후보(왼쪽에서 세번째)가 권선 종합 시장을 방문한 모습. (사진 = 박재순 선거사무소)
박재순 국민의힘 수원무 국회의원 예비후보(왼쪽에서 세번째)가 권선 종합 시장을 방문한 모습. (사진 = 박재순 선거사무소)

(경기=NSP통신) 조현철 기자 = 2020년 코로나19로 인한 경기 침체에 대응하기 위해 미국을 비롯한 전 세계 나라들이 천문학적인 돈을 풀고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원자재 가격 상승하면서 전 세계가 물가 상승으로 고통을 받고 있다.

이에 박재순 국민의힘 수원무 국회의원 예비후보는 15일 “물가가 오르면 가계의 실질 소득이 감소하고 기업의 비용이 증가하고 경기 침체에 빠질 우려가 있다”며 “지금 한국은행에서 기준금리를 쉽사리 내리지 못하는 이유이기도 하다”고 말했다.

이어 “하지만 결국 물가는 그 나라의 잠재 경제 성장률에 수렴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시간이 문제이지 물가는 안정화될 것이니 국민 여러분 힘내시고 조금만 기다려 달라”고 강조했다.

G03-8236672469

설 명절을 앞두고 장을 보다 사과봉지를 들었다 내려놓은 경험도 있었을 법도 한 요즘. 올해 1월 들어 소비자 물가지수(CPI)는 2.8%로 전년 대비 하향 안정세로 접어들었지만 신선물가지수는 14.4%나 올랐다.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는 2.6% 상승으로 안정화됐지만 유가 변동성은 커지고 농산물은 설날 소비 특수와 계절적 영향을 받아 신선물가지수가 크게 상승했다.

물가 상승은 국민들의 자산 가치 하락으로 이어져 가만히 앉아서 실질소득이 감소하게 된다. 결국 서민과 중산층들이 돈으로 살 수 있는 서비스와 물건의 양이 줄어든다. 물가 상승은 서민과 중산층의 고통을 가중시킨다.

실제로 통계청 (KOSIS) / IMF 통계에 따르면 2024년 소비자물가지수를 113.96, 물가 상승률을 2.3%, 2025년 소비자물가지수 118.56, 물가 상승률을 2%로 예측하고 있다.

OECD 자료에 의하면 중앙은행 기준금리는 2023년 3.5%, 2024년 3.313%, 2025년 2.563%로 예측하고 있다.

박재순 국민의힘 수원무 국회의원 예비후보는 “물가 상승을 잡기 위한 해법으로는 수요 측면에서는 정부 지출, 민간 투자, 민간 소비를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고 과도한 통화량 발행을 자제해야 한다”며 “초과수요의 원인이 순수출 증가로 인한 외화유입에 기인한 거라면 환율 조정과 수출규제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공급 측면에서 비용 상승과 원자재 가격 상승이 물가상승의 원인이라면 수입 라인을 다각화해야 한다”며 “임금 상승이 원인이라면 물가와 임금을 연동하게 하거나 상한선 가이드라인을 만들어 임금 상승을 제한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물가 상승은 자본주의 경제의 모순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단시일 내에 해결이 어렵다”면서 “물가를 잡는 가장 좋은 해법은 기술 혁신으로 공급을 원활히 해줘야 하고 노사의 화합으로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게 가장 좋다”며 노사 화합을 주문했다.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G03-82366724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