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내용 건너뛰기(skip to main content) 본문 바로가기(Go body) 메뉴 바로가기(Go Menu)
G03-8236672469

강정호 강원도의원 “강원 고령화율 전국 3위…도와 시군 즉각 대책 나서야”

NSP통신, 조이호 기자, 2025-08-22 14:03 KRX5
#강정호도의원 #강정호강원도의원 #강정호의원 #강원특별자치도의회 #강원자치도의회

“강원도의 고령화 속도, 전국보다 빠르고 이대로라면 인구 구조 불균형 심화해 지역 소멸로 직결”

NSP통신-강정호 강원도의원. (사진 = 강원도의회)
강정호 강원도의원. (사진 = 강원도의회)

(강원=NSP통신) 조이호 기자 = 강원특별자치도의 고령화 문제가 심각한 수준에 도달했다. 전국 평균을 훌쩍 웃도는 고령화율 속에서 도내 절반 이상의 시·군이 초고령 사회(고령화율 30% 이상)에 들어선 것이다.

강정호 강원특별자치도의원(국민의힘·속초1, 지역소멸대응 특별위원회 위원장)은 21일 보도자료를 통해 “강원도의 고령화율이 전국 3위 수준으로 치솟았다”며 “도와 18개 시·군이 함께 즉각적인 대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현황에 따르면 2025년 7월 말 기준 강원특별자치도의 고령화율(65세 이상 인구 비율)은 26.3%에 달한다. 전국 평균 20.7%를 크게 넘어선 수치로 전남(27.9%), 경북(26.9%)에 이어 전국 3위다.

G03-8236672469

우리나라 전체가 지난해 이미 고령화율 20%를 돌파하며 ‘초고령 사회’에 진입했지만 강원도는 그보다 더 가파른 곡선을 그리고 있다. 2000년 당시 전국 평균 고령화율은 7.0%, 강원도는 9.3%였다. 그러나 25년 만에 전국 20.7%, 강원 26.3%로 격차가 더욱 벌어졌다.

강정호 의원은 “강원도의 고령화 속도는 전국보다 빠르고 이대로라면 인구 구조 불균형이 심화해 지역 소멸로 직결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시군 절반 이상 초고령 사회

NSP통신-광역자치단체별 고령화 비율 현황(65세 이상 인구, 2025년 7월말 기준) (이미지 = 강원도의회)
광역자치단체별 고령화 비율 현황(65세 이상 인구, 2025년 7월말 기준) (이미지 = 강원도의회)

도내 시군별 상황은 더욱 심각하다. 횡성군의 고령화율은 무려 38.1%로 가장 높았으며 영월군(37.2%), 평창군(36.5%), 양양군(36.3%), 정선군(36.2%) 등이 뒤를 이었다. 고성군과 홍천군도 각각 34.8%를 기록했고, 태백시(32.0%), 삼척시(31.3%) 역시 30%를 넘어섰다.

결국 강원도 18개 시·군 가운데 절반에 해당하는 9곳이 고령화율 30%를 돌파해 초고령 사회로 분류된다. 반면 원주시만이 고령화율 19.8%로 도내 유일하게 20% 미만을 기록, 상대적으로 젊은 인구 구조를 보였다.

강 의원은 문제 해결을 위해 단기·중기·장기적 접근을 아우르는 종합대책을 제시했다. 그는 “단기적으로는 고령자의 노동시장 참여를 확대하고 의료비 부담을 줄이는 정책이 필요하다”며 “중기적으로는 돌봄 시스템과 주거환경 개선, 장기적으로는 경제적 자립을 지원하는 구조 개혁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단기적 방안으로는 고령층 재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일자리 창출, 기초연금 지급 확대를 통한 빈곤율 완화, 건강관리 프로그램 강화 등을 제시했다. 특히 의료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 예방 중심의 정책과 지역 보건 인프라 확충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중기적으로는 고령층 돌봄 서비스 확대와 함께, 스마트 기술을 활용한 돌봄 시스템을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인력 부족 문제를 해소하면서도 의료 접근성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이다. 지역별 맞춤형 의료시설 확충과 모바일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도 포함됐다.

장기적으로는 정년 연장을 법제화하고, 고령자 고용을 촉진하는 정책을 강화해야 한다는 제안이 나왔다. 또한 고령화로 인한 세수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세제 개혁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강 의원은 “고령 인구의 경제적 기여도를 높이는 동시에 복지 예산을 균형 있게 배분해야 한다”고 말했다.

교육과 인식 개선도 관건

강정호 의원은 정책적 대응과 함께 사회 전반의 인식 개선도 강조했다. 그는 “고령층이 사회적 책임을 다할 수 있도록 교육을 강화해야 하며, 세대 간 갈등을 줄이기 위해 고령화 사회의 중요성과 해결책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청년층의 이탈을 막고 지역 공동체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해, 고령자에 대한 차별을 없애고 적극적인 사회 참여를 독려하는 분위기를 만드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것이다.

강정호 의원은 무엇보다 강원도와 18개 시·군의 공동 대응을 강조했다. 그는 “고령화 문제는 단일 지자체의 힘만으로 해결할 수 없다”며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긴밀히 협력하고, 민간 영역까지 함께 참여하는 종합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지금 이 시점에서 강원도가 움직이지 않는다면 초고령 사회의 파고를 막을 수 없다”며 “단기 대응책부터 장기적 구조 개혁까지, 전방위적인 정책 개발과 예산 확보에 모든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G03-82366724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