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P통신) 김정태 기자 = KT의 무선 초고속인터넷 서비스인 와이브로(Wibro)가 미국은 물론 일본에서도 서비스된다.
이에 따라 한국의 KT 와이브로 사용자들은 이들 해외 지역에서도 로밍 서비스를 받아, 인터넷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게 됐다.
특히 그 동안 해외 출장이나 여행시 겪었던 인터넷 사용의 불편함이 해소되고 비싼 이용 요금에 대한 부담이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KT(대표 남중수)는 10일, 도쿄에서 표현명 휴대인터넷사업본부장과 일본 와이브로 사업자인 UQ커뮤니케이션 타카시 타나카(Takashi Tanaka) 사장이 참석한 가운데 와이브로(모바일 와이맥스) 상호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이를 통해 양사는 글로벌 로밍 관련 기술 규격 협의, 플랫폼 구축, 단말 공동개발 등 상호 협력을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KT는 지난해 8월 미국 스프린트 넥스텔에 이어 일본 UQ커뮤니케이션과도 글로벌 로밍에 관한 상호 협력을 맺게 돼 한국, 미국, 일본을 잇는 3각 글로벌 로밍 체제를 구축할 수 있게 됐다.
로밍용 단말기는 2.3GHz(한국)와 2.5GHz(미국, 일본) 주파수를 함께 지원하는 USB모뎀 형태가 된다.
상용서비스 개시 시기는 미국은 올해 내, 일본은 내년 하반기가 될 예정이다.
표현명 KT 휴대인터넷사업본부장은 “이번 양해각서 체결로 와이브로 사용자가 해외에서도 편리하게 무선 초고속인터넷을 즐길 수 있는 길이 넓어지고 있다”면서 “KT가 의장직을 맡고 있는 와이브로 국제협력기구인 WMC(WiBro & Mobile WIMAX Community)를 통해 와이브로 글로벌 로밍에 참여하는 국가를 지속적으로 늘려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일본의 와이브로 사업자인 UQ커뮤니케이션은 지난해 12월 일본 정부로부터 사업권을 획득했고 내년 2월부터 도쿄, 요코하마 지역을 중심으로 시범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하반기에는 오사카, 나고야로 서비스 지역을 확대하는 동시에 본격적인 상용화를 할 방침이다.
DIP통신, ihunter@dipts.com
<저작권자ⓒ 대한민국 대표 유통경제 뉴스 DIP통신.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