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내용 건너뛰기(skip to main content) 본문 바로가기(Go body) 메뉴 바로가기(Go Menu)
G03-8236672469

이민환 교수 “저신용자 위한 단기대출 활성화 시켜야”

NSP통신, 오금석 기자, 2016-09-22 15:00 KRD7
#대부업 #대출 #금융 #소득 #자금

대부업 이용자들, 주로 과소비·오락 보다 '생계목적'으로 대출

(서울=NSP통신) 오금석 기자 = 이민환 교수는 “정책기관은 저신용자를 위한 대출시장이 축소되지 않도록 장기대출보다 단기대출을 활성화 시켜야 한다”고 언급했다.

한국대부금융협회는 22일 제주도 엘리시안 리조트에서 ‘국내외 서민금융 이용 행태 연구 및 시사점’을 주제로 ‘2016 소비자금융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 이민환 인하대 글로벌금융학과 교수는 ‘대부업 이용자 실태 조사 결과’를 분석한 결과 소득이 낮거나 부양가족이 많을수록 대부업을 이용할 가능성이 높아진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G03-8236672469

주로 대부업 이용자는 과소비나 오락 목적보다는 생계 목적으로 대출을 이용한다는 것이다.

이 교수는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소득 및 동거인수의 여부에 따라 대부업 이용 확률이 달라진 것으로 나타났다”며 “월평균 소득이 증가할수록 또 동거인수가 많을수록 대부업 이용 확률이 높아졌다”고 발표했다.

주요 대부업 이용 목적은 ‘생활자금’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요 이용자는 20~30대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과소비 지출보단 타 금융권의 대출상품을 이용하기 어려운 계층이 많은 것으로 분석됐다.

이 교수는 이러한 결과에 따라 “대부업 시장은 건전한 생활자의 단기간 긴급자금 조달을 위한 시장”으로 평가하면서 “자금조달환경 개선 등 제도적인 장치가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부업 시장은 주로 은행이나 상호금융기관을 이용하기 어려운 신용등급 7~10등급의 저신용자가 주 고객으로 형성돼있다. 과거엔 여타 금융기관보다 대출 금리가 높았지만 현재는 상한금리가 27.9%로 낮아진 상황이다. 이에 정책당국은 불법 행위에 대한 규제강화와 함께 대부업 시장의 긍정적인 기능은 활성화해야 한다는 게 이 교수의 설명이다.

또 이 교수는 “금융기관 대출을 상환할 능력이 없는 저신용, 저소득자들에겐 금융적인 접근이 아니라 복지 차원에서 접근해야 한다”며 “국가는 안정적인 일자리를 마련하는 등 이들을 위한 지속적인 보살핌으로 자립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고 말했다.

그는 “주로 단기간 긴급자금에 대한 대출이라는 점을 봤을때 장기대출 보다는 단기대출이 활성화되도록 유도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정책당국은 과다한 규제로 인해 저신용자를 위한 대출시장이 축소되는 일이 없도록 시장 영향을 종합적으로 판단해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 날 금융 컨퍼런스에는 주요 대부업체 대표 40여명과 금융당국, 학계 등으로 약 100여명이 참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