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내용 건너뛰기(skip to main content) 본문 바로가기(Go body) 메뉴 바로가기(Go Menu)
G03-8236672469

주택금융공사, 올해 취약계층 9.2조원 전세보증 공급

NSP통신, 김빛나 기자, 2020-12-15 10:42 KRD7
#주택금융공사 #취약계층 #전세자금 #보증료우대 #HF
NSP통신- (주택금융공사 제공)
(주택금융공사 제공)

(서울=NSP통신) 김빛나 기자 = 한국주택금융공사(HF)가 올해 11월까지 금융취약계층에 9조2000억원의 전세자금보증을 공급하고 이를 통해 연간 647억원의 주거비 부담을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HF공사는 코로나19로 생활이 어려워진 취약계층의 주거지원을 위해 청년 전・월세보증 공급한도를 기존 1조1000억원에서 4조1000억원으로 확대하고 지자체 및 금융기관과의 협약을 확대해 대출금리 인하 지원과 보증료를 우대했다.

이를 통해 HF공사는 올해 11월까지 전년동기 3조7000억원 대비 150% 증가한 9조2000억원을 보증했다.

G03-8236672469

특히 청년 전세보증은 올해 11월까지 전년 동기 대비 375% 증가한 2조6000억원을 5만 가구에 지원한 것으로 집계됐다.

청년 전세보증은 만 34세 이하 무주택 청년에게 2%대 금리로 최대 7000만원까지 지원하는 상품으로 연소득 3000만원 이하의 취업준비생과 사회초년생이 1인당 5000만원의 전세대출보증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자체 협약전세보증 상품은 올해 11월까지 전년 동기 대비 147% 증가한 3조4000억원을 3만 가구에 지원했으며 신혼부부와 청년층이 지자체 이자지원을 받아 연평균 1.4%의 금리로 1억3000만원의 전세보증을 이용한 것으로 파악됐다.

HF공사는 이를 통해 일반 전세보증 이용고객보다 월평균 13만원의 이자 비용이 줄었다고 설명했다.

금융기관 협약을 통한 전세자금보증은 올해 11월까지 84% 증가한 2조8000억원을 2만 가구에 지원했다.

이 상품은 금융기관이 대출 금리를 일부 인하해 주고 공사가 보증료를 우대하는 상품으로, 신혼부부 및 다자녀 가구가 주로 이용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외에도 신용회복지원자・정책서민금융이용자 등 중점지원 특례전세보증 상품은 올해 11월까지 전년 동기 대비 21% 증가한 3000억원을 5000 가구에 지원했다.

공사 관계자는 “올해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는 서민층의 주거비 절감을 지원하기 위해 지자체 및 금융기관과 협업으로 9조2000억원의 전세보증을 지원해 연간 600억원 이자부담 완화, 47억원의 보증료 우대 등 647억원의 비용부담을 완화했다”며 “앞으로도 금융취약계층에 대한 신상품 개발을 통해 서민 위주로 전세보증을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공사가 유관기관과 협업을 통해 취약계층의 주거비 부담을 완화해주는 상품은 ▲13개 은행과 협약을 통해 대출금리를 0.3~0.6%p 우대해 주는 청년 전세보증 ▲지자체와 협약을 통해 지자체가 대출금리를 1%~2%p 지원하는 지자체 협약전세보증 ▲개별 금융기관과 협약을 통해 대출금리를 0.1~0.2%p 우대해 주는 금융기관 협약전세보증 등이다.

공사는 이 상품에 대해 최저보증료율(0.05%) 수준으로 보증료를 우대해주고 있다.

NSP통신 김빛나 기자 shine@nspna.com
저작권자ⓒ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