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내용 건너뛰기(skip to main content) 본문 바로가기(Go body) 메뉴 바로가기(Go Menu)
G03-8236672469

경기도민 10명 중 6명 ‘공공기관 3차 이전’ 추진 “잘했다”

NSP통신, 김병관 기자, 2021-04-27 12:59 KRD7
#경기도 #경기도민 #공공기관이전 #여론조사

긍정 평가 비율은 성, 연령별로 비슷하게 과반 이상 높게 나타나

NSP통신-경기도 공공기관 3차 이전 추진평가 성·연령별 비교 조사 결과 그래픽. (경기도)
경기도 공공기관 3차 이전 추진평가 성·연령별 비교 조사 결과 그래픽. (경기도)

(경기=NSP통신) 김병관 기자 = 경기도민 10명 중 6명 이상이 ‘경기도 공공기관 3차 이전’ 추진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한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경기도는 지난 17일 도민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 응답자의 62%가 ‘경기도 공공기관 3차 이전’ 추진에 대해 ‘잘했다’고 답했다고 밝혔다.

도는 지난 2월 17일 도내 지역균형 발전을 위해 경기연구원, 경기신용보증재단,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경기농수산진흥원, 경기복지재단, 경기주택도시공사, 경기도여성가족재단 등 7개 기관의 이전 추진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G03-8236672469

‘경기도 공공기관 3차 이전’ 추진에 대해 ‘잘했다’는 응답은 성, 연령과 상관없이 고르게 높았다.

NSP통신-경기도 공공기관 3차 이전 추진평가 권역별 비교 조사 결과 그래픽. (경기도)
경기도 공공기관 3차 이전 추진평가 권역별 비교 조사 결과 그래픽. (경기도)

남성(61%)과 여성(62%) 모두 긍정 응답률이 60%를 넘었으며 연령별로도 20대(69%), 30대(54%), 40대(63%), 50대(61%), 60대(63%), 70세 이상(59%) 모두 고른 분포를 보였다.

북부·남부 권역별로 나눠 ‘도 공공기관 3차 이전’ 추진에 대한 의견을 물었을 때도 ‘잘했다’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경기 북부지역의 경우 응답자의 79%가 ‘잘했다’고 답했으며 남부지역에서도 과반인 56%가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긍정 평가 응답자 617명에 대해 그 이유를 물었을 때 ‘분산을 통해 지역 균형 발전에 도움이 된다’(53%)는 답이 가장 많았으며 ‘좋은 취지의 정책’ ‘편의성 확대’ ‘행정력 분산 효과’(각 2%) ‘접근성 좋음’ ‘지역경제 활성화’(각 1%) 등도 이유로 들었다.

NSP통신-경기도 공공기관 3차 이전 추진평가 이유 분석. (경기도)
경기도 공공기관 3차 이전 추진평가 이유 분석. (경기도)

부정 평가 응답자 282명에 대해서도 그 이유를 물었다. ‘추가 비용 발생으로 불필요한 예산 낭비’(29%)라는 의견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전할 필요 없이 기존 그대로가 좋음’(10%), ‘또 다른 지역의 불균형 초래’(10%) 등이 뒤를 이었다.

이번 조사는 경기도가 여론조사기관인 케이스탯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7일 18세 이상 도민 1000명을 대상으로 전화조사 방식으로 진행했으며 신뢰수준 95%, 표본오차 ±3.1%p다.

한편 도는 3월 23일 ‘3차 공공기관 이전 지역 선정 공고’를 통합 발표했으며 4월 12일 시·군 공모를 마감했다.

도는 이달 말까지 1차 서면심사와 현장실사를 완료하고 5월 말 2차 프레젠테이션(PT)심사를 거쳐 최종 이전지역 선정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NSP통신 김병관 기자 inspect1234k@nspna.com
저작권자ⓒ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G03-82366724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