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내용 건너뛰기(skip to main content) 본문 바로가기(Go body) 메뉴 바로가기(Go Menu)
G03-8236672469

광양시, 진드기 매개 감염병과 비브리오패혈증 각별한 주의 당부

NSP통신, 김성철 기자, 2025-09-26 15:47 KRX7 R1
#광양시 #광양시보건소 #진드기매개감염병 #비브리오패혈증 #예방수칙

야외활동 후 발열, 구토 등 증상 발생 시 즉시 의료기관 방문해야
어패류 생식 금지 등 예방수칙 준수

NSP통신-진드기 매개 감염병 예방 수칙 홍보 포스터 (이미지 = 광양시청)
진드기 매개 감염병 예방 수칙 홍보 포스터 (이미지 = 광양시청)

(전남=NSP통신) 김성철 기자 = 광양시는 가을철 야외활동이 늘어남에 따라 진드기 매개 감염병 예방을 위해 시민들에게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지난 19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국내 주요 진드기 매개 감염병은 ‘쯔쯔가무시증’과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으로 최근 3년간 전체 환자의 74.3%가 가을철(9월~11월)에 집중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쯔쯔가무시증은 털진드기 유충에 물린 후 10일 이내 고열·오한 증상이 나타나며 가피(검은 딱지)가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G03-8236672469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은 바이러스를 보유한 작은소피참진드기에 물려 감염되며 5~14일의 잠복기를 거쳐 고열·구토 등 증상이 발생한다. 특히 백신과 치료제가 없어 치명률이 18.5%에 달해 예방수칙 준수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진드기 매개 감염병 예방의 핵심은 진드기에 물리지 않는 것이다. 이를 위해 ▲야외활동 전 모자·긴팔·긴바지·등산화·목수건·장갑·긴 양말 착용으로 피부 노출 최소화 ▲진드기 기피제 사용 ▲야외에서는 돗자리를 깔고 앉기 ▲활동 후 옷과 몸을 털고, 씻고, 세탁하기 등의 예방수칙을 준수해야 한다.

박양숙 보건행정과장은 “추석 명절은 성묘와 벌초 등으로 야외활동이 많은 시기다. 시민들께서는 반드시 예방수칙을 준수해 주시길 바란다”며 “야외활동 후 2주 이내 발열·구토·설사 등 의심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해 의료진에게 농작업 또는 야외활동력을 알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광양시보건소는 농업종사자 등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예방 교육을 지속 실시하고, 읍·면·동과 보건진료소·보건지소를 통해 기피제를 배부하는 등 진드기 매개 감염병 예방에 힘쓰고 있다.

NSP통신-비브리오패혈증 증상 (이미지 = 광양시청)
비브리오패혈증 증상 (이미지 = 광양시청)

광양시는 지난 8월 이후 전국적으로 비브리오패혈증 환자가 증가함에 따라 예방을 위한 각별한 주의를 시민들에게 당부했다.

지난 16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올해 비브리오패혈증 누적 환자는 19명(사망 8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21명) 대비 9.5% 감소했으나 치명률은 여전히 42.1%로 높았다. 사망 환자들은 모두 간 질환, 악성종양, 당뇨병 등 기저질환이 있는 고위험군이었다.

비브리오패혈증은 해수 온도가 높아지는 8~10월에 집중적으로 발생하며 주된 감염 원인은 균에 오염된 어패류 섭취와 상처 부위의 바닷물 접촉이다. 감염 시 12~72시간의 잠복기를 거쳐 급성 발열·오한·복통·구토 증상이 나타나고 발병 후 24시간 내 발진·부종·수포 등 피부병변이 발생한다.

예방 수칙은 ▲어패류는 흐르는 물에 씻고 85℃ 이상에서 완전히 익혀 먹기 ▲피부에 상처가 있는 경우 바닷물 접촉 금지 ▲바닷물 접촉 후 물과 비누로 노출 부위 씻기 ▲어패류는 5℃ 이하 저온 보관하기 ▲어패류 취급 시 장갑 착용하기 ▲도마, 칼 등 조리 도구는 소독 후 사용하기 등이다.

박양숙 보건행정과장은 “비브리오패혈증은 치명률이 높은 만큼 고위험군은 어패류 생식과 상처 부위의 바닷물 접촉을 반드시 피해야 한다”며 “의심 증상이 나타나면 지체 없이 의료기관을 방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G03-82366724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