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내용 건너뛰기(skip to main content) 본문 바로가기(Go body) 메뉴 바로가기(Go Menu)
G03-8236672469

계명대, ‘대경 모빌리티 산학관연 협의체’ 포럼 개최

NSP통신, 김대원 기자, 2025-11-24 16:34 KRX7 R1
#대구시 #계명대 #경북도 #포럼 #자율주행차

모빌리티 산업 AI 자율 제조 혁신 방안 논의

NSP통신-계명대학교 산학연협력단지사업단은 지난 20일 대구 그랜드호텔에서 미래자동차 혁신융합대학사업단(COSS), 미래형모빌리티융합기술혁신센터(UIC), RISE 사업단과 공동으로 대경 모빌리티 산학관연 협의체 포럼을 개최했다. (사진 = 계명대학교)
fullscreen
계명대학교 산학연협력단지사업단은 지난 20일 대구 그랜드호텔에서 미래자동차 혁신융합대학사업단(COSS), 미래형모빌리티융합기술혁신센터(UIC), RISE 사업단과 공동으로 ‘대경 모빌리티 산학관연 협의체’ 포럼을 개최했다. (사진 = 계명대학교)

(경북=NSP통신) 김대원 기자 = 계명대학교(총장 신일희) 산학연협력단지사업단은 지난 20일 대구 그랜드호텔에서 미래자동차 혁신융합대학사업단(COSS), 미래형모빌리티융합기술혁신센터(UIC), RISE 사업단과 공동으로 ‘대경 모빌리티 산학관연 협의체(이하 협의체)’ 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포럼은 AI 자율 제조가 제조업 전반의 핵심 의제로 떠오르는 가운데 지역 모빌리티 산업발전과 노동 인구 부족 문제 대응을 위한 협력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협의체는 2022년 출범 이후 매년 분기별 포럼을 개최하며 미래 모빌리티 신기술과 제조 핵심기술 중심의 산학관연 협력 기반을 다져왔다. 올해 포럼에서는 기존 공장 자동화를 넘어 ‘스스로 학습하고 최적화하는 AI 제조 시스템’으로 전환되는 변화 흐름을 집중적으로 다뤘다.

이번 행사에는 지역 자동차부품 기업 임직원, 대구·경북지역 대학 미래모빌리티 관련 학과 교수, 자동차 관련 기관 연구원, 미래자동차 혁신융합대학사업단 컨소시엄 관계자 등 약 80명이 참석했다.

G03-8236672469

행사는 ▲4차 산업혁명이 만드는 스마트 모빌리티 생태계: 제조업의 디지털 전환 전략(박수진 알씨케이 대표) ▲모빌리티 제조의 미래: ‘다름’에서 시작하는 혁신(서은석 크레플 대표) ▲AI 기반 객체 추적 및 재식별 기술 소개(이덕우 계명대 컴퓨터공학과 교수) ▲규제자유특구 지원 사업 소개(조정일 대구테크노파크 사업정책센터장) ▲AI가 이끄는 디지털 제조 혁신(김정태 FPT Software Korea 이사) ▲모빌리티 기업의 EXIT 과정(IPO 및 M&A)의 세무 전략(임종회 세무사) 발표로 이어졌다.

각 발표에서는 디지털 트윈 활용, AI 자율 제조 시스템, 공정 데이터 분석·최적화, 규제특구 지원, 글로벌 디지털 제조 혁신 사례, 기업의 재무 전략 등 실제 현장 적용이 가능한 정보가 공유됐다.

서은석 크레플 대표는 “모빌리티 제조의 혁신은 거대한 투자보다 작은 차이를 발견하는 데서 출발한다”며 “기업이 현장에서 마주하는 문제를 세밀하게 관찰해 차별적인 기술로 연결할 때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계명대 모빌리티 캠퍼스는 이런 혁신이 실제 구현되는 공간이며 대학과 기업의 긴밀한 협력이 지역 산업 생태계 변화를 앞당길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광구 계명대 UIC센터장은 “이번 포럼은 AI 알고리즘을 적용한 제조 혁신 방안을 논의하는 의미 있는 자리였다”며 “기업과 대학이 긴밀히 협력해 대구·경북 모빌리티 산업의 경쟁력을 높여 나가자”고 말했다.

김범준 계명대 산학부총장은 “협의체 포럼을 통해 기술적 난제와 규제 장벽을 함께 논의하고 해결책을 모색하는 장을 계속 마련하겠다”며 “더 많은 기업이 산학연협력단지조성사업에 참여해 시너지를 창출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한편 계명대 산학연협력단지사업단은 올해 6월 교육부와 달성군 지원으로 개소한 이후 18개 기업 입주, 10건의 산학 공동연구, 21건의 기업 애로사항 해결 등 실질적인 협력 성과를 냈다. 전기모터 해석 소프트웨어(ANSYS), 철손 측정 시스템 등 공용 연구 인프라도 구축해 지역 모빌리티 산업 혁신 허브 역할을 확대하고 있다.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G03-82366724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