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내용 건너뛰기(skip to main content) 본문 바로가기(Go body) 메뉴 바로가기(Go Menu)
G03-8236672469

한국항공우주, ‘수리온’ 의무후송전용헬기로 또 다시 변신

NSP통신, 박정섭 기자, 2014-08-05 23:48 KRD7
#한국항공우주(047810) #헬기 #의무 #의무후송 #KAI
NSP통신

(서울=NSP통신 박정섭 기자) = 국산 기동헬기 ‘수리온’이 우리 군 장병들의 소중한 생명을 지킬 의무후송전용헬기로 재탄생한다.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은 방위사업청과 의무후송전용헬기사업 계약을 체결하고 체계개발에 본격 착수한다고 밝혔다.

의무후송전용헬기사업은 전시 및 평시 응급환자의 신속한 후송과 응급처치가 가능한 의무후송전용헬기를 신규 도입하는 사업으로 개발비용은 약 320억 원, 양산비용은 2600억 원 규모다.

G03-8236672469

수리온 의무후송전용헬기는 2016년까지 개발을 마치고 2018년부터 전력화를 시작해 2019년 완료할 계획이다. 국내에서 의무후송전용헬기가 개발·도입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최대 6명까지 동시 후송이 가능한 수리온 의무후송전용헬기는 기동헬기로 개발된 수리온의 우수한 비행성능을 기반으로 다양한 의무후송 장비를 추가하여 기상 및 환경조건에 구애받지 않고 원활한 임무수행이 가능하도록 개발된다.

수리온에 장착된 ‘전방감시 적외선 장치(FLIR)’, ‘자동비행조종 장치’ 외에 ‘기상 레이더’, ‘지상충돌 경보장치’ 등을 더하여 악천후, 야간 임무 수행 능력을 더욱 향상 시키고 제자리 비행능력이 뛰어난 수리온에 ‘외부장착형 환자인양장치’를 추가하여 헬기 착륙이 어려운 산악지형과 도서지역에서도 더욱 원활한 의무후송이 가능하며 장거리 임무 수행을 위한 ‘탈부착식 보조연료탱크’도 적용된다.

이밖에도 환자의 생존 및 회복률을 극대화 시킬 수 있도록 자동높이조절 기능을 가진 ‘들것받침장치’를 비롯해 ‘산소공급장치’, ‘의료용흡인기’, ‘환자감시장치’, ‘심실제세동기’, ‘인공호흡기’ 등 다양한 첨단 응급의료장비들이 탑재된다.

의무후송전용헬기 도입으로 신속한 환자 후송 및 응급치료가 가능해짐에 따라 우리 군의 전투능력과 사기 향상은 물론 대군 신뢰도도 더욱 배가될 전망이다.

또한 재난구조, 대민지원 임무 수행을 통해 국민 안전 및 복지 향상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경찰청, 상륙기동헬기에 이어 의무후송전용헬기도 수리온 기반으로 개발 결정됨에 따라 군이 도입 검토 중인
수리온 해상작전헬기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지난 2011년 우리 군은 긴급소요 전력 요구에 따라 1차로 해외 직도입을 결정하고 아구스타웨스트랜드의 AW159를 낙점했다. 현재 2차 도입 분에 대해 수리온을 기반으로 한 국산 헬기 개발을 검토 중이다.

해상작전헬기 개발 시 요구되는 기술 중 상당부문이 경찰청헬기, 상륙기동헬기, 의무후송전용헬기 등과 공유 가능하고 국제기술협력을 통해 개발 리스크를 최소화할 수 있어 우수한 성능의 국산 해상작전헬기 개발이 가능하다.

또한 국내 잠재 수요 50여대와 200대에 달하는 해외수요를 고려할 때 총 100여대의 판매가 가능해 경제성도 충분하다는 평가다.

KAI는 수리온 파생형헬기 개발을 통해 국내에서 운용 중인 약 400여 대의 외국산 군·관용헬기 대체와 300여 대의 수출을 목표하고 있다.

국산헬기 수리온이 다양한 파생형 헬기 개발로 이어질 경우 막대한 외화 유출 방지와 동일 플랫폼 사용에 따른 장기 운용유지비 감소 등 국방 예산 절감은 물론 수리부속 공급, 정비 등의 외국산 헬기 운용의 문제점도 해결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desk@nspna.com, 박정섭 기자(NSP통신)
<저작권자ⓒ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