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NSP통신) 박유니 기자 = 올 여름 이례적인 폭염 여파로 배추 등 김장재료 가격이 큰 폭으로 올라 올해 김장을 하지 않겠다는 주부들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FNF 종가집은 김장철을 앞두고 지난 5일~11일 자사 브랜드 블로그에서 30·40 주부 100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응답자의 47%가 ‘김장을 담그지 않겠다’며 답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와 비교해 16% 상승한 것으로 2012년(52.7%)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응답자의 42%는 지난해 보다 배추 및 부재료의 비용이 약 20% 정도 상승한 것 같다고 답했다. 김장을 담그겠다고 한 주부들 역시 가장 걱정되는 부분으로 물가상승(57%)을 꼽았다.
통계청이 지난 5일 발표한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올 여름부터 급등했던 배추값의 경우 전년동월대비 198.2%로 약 2배 가량, 대표 양념재료인 무우 역시 1년 전과 비교해 106.5% 상승한 상황이다.
실제 가격변동으로 인한 김장계획에 영향을 미치는 재료의 중요도를 비교 평가한 결과 배추(56%)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해 주재료의 가격 급등에 대한 부담이 자연스럽게 김장포기로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
김장 방식으로는 ‘절임배추 구입 후 양념 속만 직접한다(51%)’, ‘절임배추와 양념 속을 모두 산다(12%)’ 등 시판제품을 이용하는 주부들이 60%를 넘어섰다. 번거로운 절임 과정 생략과 시간 절약이 가능하다는 이유에서다.
3인 이하 가구의 주부 중 55%는 직접 김장을 하지 않겠다고 답했다. 식구 수가 적어 김치 소모량이 적은 만큼 굳이 김장철에 맞춰 미리 준비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김장 계획이 없는 주부들은 대안으로 ‘가족 및 지인에게 얻는다(55%)’, ‘포장김치 구입 예정(33%)’ 등을 제시했다.
포장김치 구매에 대해서는 ‘올해 첫 구매 예정’이 11%였으며, 구입 이유로 ‘직접 하는 것보다 저렴해서(50%)’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한편 올해 김장비용은 20포기 기준 20~30만원 사이로 예상한 주부들이 가장 많았으나, 인건비와 교통비, 시간 등 체감비용을 포함한 김장비용은 평균 50~60만원이라고 답해 경제적 비용 외 본인의 수고와 시간 등 기회비용도 부담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NSP통신/NSP TV 박유니 기자, ynpark@nspna.com
저작권자ⓒ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