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NSP통신) 김정태 기자 = 카카오뱅크 준비법인인 한국카카오(이하 카카오뱅크, 대표 이용우·윤호영)는 5일 은행업 본인가를 획득했다.
은행업 인가에 따라 법인명을 한국카카오은행으로 변경하고 약칭으로는 카카오뱅크(kakaobank)를 사용한다.
카카오뱅크는 스마트폰의 모바일앱(One Mobile App)만으로 완결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별도의 추가 앱 설치와 공인인증서 없는 비대면 실명확인을 통해 언제 어디서나 계좌개설부터 여신·수신 이용은 물론이고 카카오톡을 기반으로 간편 송금 비롯해 해외 송금도 할 수 있다.
윤호영 카카오뱅크 공동대표는 “본인인증 후 계좌개설까지 7분 내외면 가능할 정도로 거래 프로세스를 개선했다”며 “대출 서비스도 스크래핑(Scrapping) 기법 등을 활용해 무방문·무서류 제출 방식으로 실행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카카오뱅크는 고객 혜택을 확대하고 일상에서 쓰임이 높은 은행으로 자리 잡기 위해 카카오, 이베이(G마켓, 옥션), 넷마블, YES24 등 카카오뱅크의 주주사들을 비롯해 다양한 기업들과의 제휴 확대로 모바일라이프(Mobile Life)와 카카오뱅크를 연결할 예정이다.
카카오뱅크는 금리 및 수수료 등 가격 부분에서도 차별적인 경쟁력을 갖춘 상품을 선보인다.
중신용자를 대상으로 한 중금리 대출은 한 자릿수 금리로 제공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카카오뱅크는 전 금융권 데이터와 비(非)금융정보를 더하고 머신러닝(Machine Learning) 기법을 결합한 신용평가모델을 구축한다.
앞으로도 주주사 및 통신사 데이터 등을 활용해 신용평가체계를 고도화할 예정이다.
이용우 카카오뱅크 공동대표는 “비용 절감 효과를 고객 혜택으로 돌려주기 위해 경쟁력 있는 수준의 수신 금리와 합리적인 수준의 대출 금리를 계획하고 있다”며 “송금을 비롯한 지급결제 부분에서도 현저히 낮은 수준의 수수료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카카오뱅크는 고객 편의 확대와 혜택 증대를 위해 은행 겸영업무인 신용카드 사업도 추진한다. 축적된 신용카드 거래 정보를 통해 축적한 빅데이터는 금융 소비자의 소비패턴 파악을 통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 등 금융상품 서비스 혁신에 밑바탕으로 쓰일 전망이다.
카카오뱅크는 서울역 부근에 모바일뱅킹센터(고객상담센터)를 마련하고 실시간 고객 상담서비스를 제공한다. 상담서비스는 카카오톡을 통한 실시간 채팅과 전화 등을 통해 이용할 수 있다.
카카오뱅크는 빅데이터와 인공지능(AI) 학습을 기반으로 하는 금융 봇(Bot) 서비스도 선보일 계획이다.
카카오뱅크는 보안 강화를 위해 주민등록번호를 비롯한 개인식별정보, 비밀번호, 생체정보 등은 암호화하고 고객정보가 포함된 시스템과 외부 인터넷에 연결된 시스템을 물리적으로 망분리하는 등 고객정보 보호도 강화했다.
카카오뱅크는 금융상품서비스 개발을 마무리하고 내·외부 금융거래 전산망 및 IT에 대한 최종 점검과 함께 실거래 테스트를 거친다.
금융소비자들은 카카오뱅크의 혁신적인 금융상품·서비스를 이르면 올해 상반기 말부터 직접 경험할 전망이다.
NSP통신/NSP TV 김정태 기자, ihunter@nspna.com
저작권자ⓒ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