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내용 건너뛰기(skip to main content) 본문 바로가기(Go body) 메뉴 바로가기(Go Menu)
G03-8236672469

가계대출 DSR, 1분기도 40% 넘었다

NSP통신, 강수인 기자, 2023-06-26 15:17 KRX7
#가계대출 #DSR #부실채권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가계대출리스크

은행 가계여신 고정이하여신비율 1분기 0.24% … 21년 1분기 이후 최고
김희곤 의원, “가계대출 리스크 적극 관리 필요”

NSP통신- (표 = 김희곤 의원실)
(표 = 김희곤 의원실)

(서울=NSP통신) 강수인 기자 = 가계대출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이 올해 1분기 40.3%로 지난해 4분기 40.6%에 이어 또 다시 40%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가계대출 부실 리스크에 대한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김희곤 의원(국민의힘, 부산 동래구)이 한국은행으로부터 제출받은 가계대출 DSR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23년 1/4분기 DSR은 40.3%로 나타났다.

DSR은 2021년 1분기 37.4%를 기록한 이후 매분기마다 상승해 왔으며 2022년 4분기 40%를 넘어선 이후에도 계속 오르고 있다.

G03-8236672469

이와 관련 국내은행의 가계여신 고정이하 여신비율은 올해 1분기 0.24%로 나타났다. 이는 2021년 1분기부터 지금까지 중 가장 높은 수치로 2021년 4분기 이후 지속 상승하고 있다. 그만큼 가계대출의 질도 나빠지고 있다는 것이다.

또 가계대출 연체율은 올해 1분기 은행 및 비은행금융기관이 각각 0.31%, 1.76%로 지난해 3분기 대비 각각 0.12%p, 0.46%p 상승하는 등 최근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2023년 1분기 가계대출 규모는 1739조 5000억원으로 한국은행은 4~5월 중 가계대출이 3월말 대비 3조원 증가하고 증가폭도 커지고 있어 2분기 가계대출 규모가 더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김 의원은 “현재 가계대출 리스크는 관리 가능한 범위에 있지만 그 규모가 계속 늘어나는 반면 상환 여력은 줄어드는 상황”이라며 “부동산 경기 등 대내외 여건에 따라 가계대출 부실화가 급격화할 수 있는 만큼 가계대출 리스크에 대한 금융당국의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