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내용 건너뛰기(skip to main content) 본문 바로가기(Go body) 메뉴 바로가기(Go Menu)
G03-8236672469

평택 메르스 사태 1년 그 후

- (4) 사태 당시 비밀주의 시민소통 부재 ·감염병 확산

NSP통신, 김병관 기자, 2017-01-10 15:27 KRD2
#평택시 #메르스 사태 2년 그후 #비밀주의 #해당 지자체장 #결단 책임 결의 부족 비판

해당 지자체장, 과도한 정부의 눈치 ·판단력과 결단 책임결의 부족 비판

NSP통신-경기 평택시청사의 전경. (NSP뉴스통신 = 김병관 기자)
경기 평택시청사의 전경. (NSP뉴스통신 = 김병관 기자)

(경기=NSP통신) 김병관 기자 = 지난 2005년 5월 메르스 사태 당시의 정부와 해당 지자체는 병원명 조차 알려주지 않는 등 정보공개를 하지 않아 비밀주의로 일관해 시민과의 소통 부재로 감염병을 확산시켰다는 지적이다.

최초의 메르스 진원지가 된 평택시가 시민과의 소통이 이뤄지지 않았다.

우석균 보건의료 단체연합 정책위원장이 발제한 ‘메르스 사태와 한국 의료 그 문제와 대안’에 의하면 중동을 방문했던 여행객이 폐렴으로 감기와 폐렴으로 동네의원과 지역의 모 병원을 방문하고 입원하면서 시작됐다.

G03-8236672469

이 환자는 지난 2005년 5월 11일부터 증상을 보이기 시작하였고 같은해 지난 5월15일부터 17일까지 평택의 모 병원에서 입원하였다.

이때 메르스 감염자들이 평택 모 병원에서 대량으로 전염되는 사태가 발생했다.

이른바 이 1번 환자는 같은해 5월17일 서울의 모 병원 응급실로 입원하였고 지난 5월20일 서울의 모 병원에서 메르스로 확진됐으며 2차 진원지가 됐다.

NSP통신-경기 평택시보건소의 전경. (NSP뉴스통신=김병관 기자)
경기 평택시보건소의 전경. (NSP뉴스통신=김병관 기자)

처음부터 정부가 역학조사를 하고 접촉에 대한 전수를 파악해 전파 경로로 넓게 차단 했다면 2차 전염을 막을 수 있었다.

그는 “정부의 방치와 서울의 모 병원의 오만이 메르스라는 질병을 메르스 사태로 만들었다”고 지적했다.

시민단체의 관계자는 감염병 등에 전파 가능성에 대해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도 신고를 안하면 농장주가 처벌을 받거나 불이익받는다”며 “병원도 마찬가지로 전염병 등 전파 가능성에 대해 신고를 안하는 등 적절한 조치를 취하지 않을 경우 직무유기에 해당하는 벌을 줘서 불이익을 주어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일부 병원에서도 초동 대응의 문제점도 많았다. 메르스 사태 당시에는 일반인들이 병원을 쉽게 드나들었던 병문안 문제도 제대로 지켜지지 않았다.

일부 병원에서는 알고도 모른 채 ’쉬 쉬’ 했고 방역도 소홀히 했다.

NSP통신-경기 평택시의 한 병원의 전경. (NSP뉴스통신=김병관 기자)
경기 평택시의 한 병원의 전경. (NSP뉴스통신=김병관 기자)

병원에서도 격리자에 대한 조치도 제대로 되지 않았다. 평택시의 모 병원 관계자는 “정부 조차에서도 비밀주의로 격리자 등에 정보에 대한 통보를 받지 못하다 보니 의료시설에 있는 의사 등 환자들은 다 접촉했기 때문에 일부 병원 직원들도 격리 대상자로 들어갔다”고 피력했다.

간병인이라든지 보호자 병원 입실 문제 등은 개선이 잘 안 되고 있다. 보건의료 전문가들은 병원 측에서는 제한 한다고 하지만 여전히 보호자들을 입실시키고 있다고 지적했다.

◆ 해당 지자체장, 과도한 정부의 눈치 ·판단력과 결단 책임결의 부족 비판

메르스 사태 당시에 해당 지자체는 과도한 정부의 눈치 지침 등으로 판단력과 결단, 책임 결의가 부족했다는 비판도 나왔다.

NSP통신-경기 평택시의 통복동 전통시장의 모습. (NSP뉴스통신=김병관 기자)
경기 평택시의 통복동 전통시장의 모습. (NSP뉴스통신=김병관 기자)

이은우 평택사회경제발전소 이사장은 “처음 겪는 메르스 사태에서 평택시장의 경우 과도하게 중앙정부 눈치 보거나 지침에만 의존했다”면서 “판단력과 결단, 그로 인한 책임은 자신이 지겠다는 결의가 부족해 시민 사회의 비판을 스스로 가중시켰다”고 지적했다.

이어 “메르스 사태 와중에도 평택시장은 시민단체와의 소통이나 만남은 회피했다”며 “관변 단체 위주의 간담회 등을 통해 지역경제살리기 정책만 강조하는 모습을 보며 소통,민주주의 시민생명과 인권을 존중하는 지방자치와는 거리가 있었다”고 주장했다.

그는 특히 “국민 생명과 안전을 보호할 책임진 정부조직과 지자체의 안이항 대응은 세월호 사태와 흡사한 모습이었다”면서 “위기에 대처하기 위한 준비도 행동력도 갖추지 못한 부끄러움을 그대로 드러낸 사건이었다”고 비판했다.

NSP통신-경기 평택시의 통복전통시장의 모습. (NSP뉴스통신=김병관 기자)
경기 평택시의 통복전통시장의 모습. (NSP뉴스통신=김병관 기자)

평택에 거주하는 한 시민은 “ 지난 것은 어찌됐든 마무리가 됐지만 평택에 이런 상황이 재차 발생됐을 때 시가 그러한 일들에 대한 대안을 세워 놓지 않고 있어 불안하다”면서 “공재광 평택시장은 메르스 발병때에도 상권을 살리겠다며 전통시장 연예인 초청 축제를 벌이는 등 국가 전염병 1급 발생지에 대한 대책이 전혀 없었다”고 꼬집었다.

이어 “그 후로 평택시의 상권은 무너졌고 아직도 보상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시민들은 골머리를 앓고 있다”며 “만약 이런 일이 다시 발생한다면 평택시는 공황 상태에 빠져 들 것이 불 보듯 뻔하다”고 주장했다.

한편 평택시는 지역주민들과의 소통 부재로 감염병 확산에 대해 “메르스 발생 초기 시민들은 두려움과 공포에 사로잡혔다.

이에 시는 메르스 확산 방지와 시민 안정화를 위해 메르스 바로 알기 시민 밀착 홍보에 적극적으로 나섰다”고 견해를 밝혔다.

NSP통신/NSP TV 김병관 기자, inspect1234k@nspna.com
저작권자ⓒ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G03-82366724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