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내용 건너뛰기(skip to main content) 본문 바로가기(Go body) 메뉴 바로가기(Go Menu)
G03-8236672469

금융생활

결혼소식 잠잠해진 5월…“결혼자금·주택마련 어려워”

NSP통신, 오금석 기자, 2017-05-03 08:00 KRD2
#신한은행(055550) #결혼 #주택 #결혼자금 #금융

(서울=NSP통신) 오금석 기자 = 결혼식 시즌인 5월이 왔음에도 불구하고 결혼소식이 뜸해졌다.

장기 불항과 실질소득 감소, 꼭 결혼을 하지 않아도 된다는 사회적 인식 등이 작용하면서 결혼기피현상이 날로 커지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혼인 건수는 1970년대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지난해 혼인은 28만1600건으로 전년보다 2만1200건(7.0%) 감소했다.  

G03-8236672469

통계청 관계자는 “경제적 측면 관련해선 20~30대 실업률이 높은 데다 전월세 비용이 높아지는 등 여건이 그다지 좋지 않은 것이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결혼기피 “결혼자금마련 어려워…상당규모 부모지원”

최근 3년 내 결혼한 사람의 평균 결혼비용은 1인당 9105만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신한은행의 ‘2017 보통사람 금융생활 보고서’에 따르면 결혼자금은 남성이 1억311만원으로 여성(7202만원)보다 약 3000만원 정도 많았다.

문제는 이 중 상당 규모는 부모의 지원으로 이뤄진다는 것이다. 자녀의 결혼 지원을 위해 대출 등을 활용하면서 노후 준비가 어렵기 때문이다.

최근 3년 내 자녀를 결혼시킨 부모의 결혼자금 지원 금액은 평균 6359만원으로 소득별로 보면 월 소득 300만원 미만 가구는 3819만원을 지원했다. 또 700만원 이상인 가구는 1억1475만원을 지원했다.

NSP통신

지원하기 위한 수단으로는 주로 보유 금융자산을 활용하거나(73.9%) 대출(20.7%), 퇴직금(12.5%)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때문에 결혼시킨 부모의 47.6%가 결혼자금 지원으로 노후에 경제적으로 무리가 된다고 밝혔다. 월 소득이 300만원 미만인 저소득층의 63.6%는 무리가 된다고 답했다.

응답자의 30%는 노후를 위한 저축을 하지 않았고 저축하더라도 현재 저축 수준으로는 은퇴 후 필요한 생활비의 3분의2만 조달할 수 있는 수준이었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경기 불황작용으로 자녀세대 스스로 결혼자금 마련이 어려워지면서 부모 의존도가 높아지고 있다”며 “부모세대는 대출을 활용해야 하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결혼기피 “부동산 자금 마련 어려워”

결혼자금 뿐만 아니라 부동산 자금마련 또한 걸림돌로 작용했다.

실제로 신한은행에서 최근 3년 내 결혼경험자 758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 결혼준비시 부담스러운 항목으로 주택마련이 37.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NSP통신

서울의 25평 아파트(약 4억 7000만 원대)를 구입하기 위해선 평균 8.5년이 소요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월 소득 수준이 낮은 20대는 32평 아파트는 마련하는데 18년, 25평 아파트를 마련하는데 14년 정도가 소요됐다.

즉 현재 소득으로 안정적인 주거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경제적 부담은 연령이 낮을수록 더 커지는 것이다.

또한 2010년 이후 첫 부동산 구입 시기별 금액은 평균 1억 7117만원(지역, 부동산 유형 무관)으로 1990년대 이전 첫 부동산을 구입했던 응답자들의 구입금액인 5272만원의 3.2배나 큰 규모다.

10년 전인 2000년대와도 약 1.5배 차이가 나 부동산 구입시기 별 연령을 늦추는 요인 중의 하나로 작용하고 있다. 1990년대 첫 부동산 구입 연령은 29세였으나 현재 이보다 6년 늦어진 평균 35세로 나타났다.

아울러 미혼남녀의 결혼 연령 또한 과거의 30년 전보다 5년 이상 늦어진 것으로 조사됐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부동산 구입 비용을 충당하는 방법으로 금융기관의 대출과 기존 보유한 금융자산을 함께 쓰는 것으로 보여진다”며 “부모·지인 원조를 예상하는 비율도 18.3%로 나타나 자력으로 부동산 마련이 어려워졌음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NSP통신

결혼기피 시대에 접어들면서 저출산에 따른 ‘인구절벽’ 문제도 나온다. 인구 감소 시기에 대비하는 ‘저출산 적응 전략’도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특히 소득·일자리·노동시간 등의 삶의 질을 개선하려는 방향으로 중장기 투자를 고민해야 한다는 것이다. 정부의 저출산 대책이 출산율 자체를 높이는 데만 초점이 맞춰져 있기 때문에 복지와 투자의 개념으로 접근하고 고용에 집중해야 한다는 것.

정부도 저출산 대책을 다시 점검하겠다는 계획이다.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지난해 출생 통계를 보며 저출산 대책을 좀 더 강력히 추진하겠다”며 “인구정책개선기획단 운영을 통해 저출산 대책을 점검하겠다”고 말했다.

NSP통신/NSP TV 오금석 기자, keum0818@nspna.com
저작권자ⓒ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