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내용 건너뛰기(skip to main content) 본문 바로가기(Go body) 메뉴 바로가기(Go Menu)
G03-8236672469

장애인 전동휠체어 보험 출시·ATM 개선...장애인 금융개선 방안 발표

NSP통신, 이정윤 기자, 2018-04-23 12:59 KRD7
#금융위 #금감원 #장애인휠체어보험 #전동휠체어보험 #장애인금융개선방안
NSP통신-한국지체장애인협회와 생명보험협회가 장애인 금융이용 활성화를 위한 전동휠체어보험 협약을 체결하고 최종구 금융위원장과 장애인 아이스하키 국가대표 선수들이 협약을 축하하며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뒷줄 왼쪽부터) 김광환 한국지체장애인협회장, 최종구 금융위원장, 신용길 생명보험협회장, (앞줄 왼쪽부터) 장애인 아이스하키 국가대표 이종경 선수, 장종호 선수 (금융위원회)
한국지체장애인협회와 생명보험협회가 장애인 금융이용 활성화를 위한 전동휠체어보험 협약을 체결하고 최종구 금융위원장과 장애인 아이스하키 국가대표 선수들이 협약을 축하하며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뒷줄 왼쪽부터) 김광환 한국지체장애인협회장, 최종구 금융위원장, 신용길 생명보험협회장, (앞줄 왼쪽부터) 장애인 아이스하키 국가대표 이종경 선수, 장종호 선수 (금융위원회)

(서울=NSP통신) 이정윤 기자 = 전동휠체어, 수동휠체어 등을 이용하는 장애인을 위한 보험 상품이 출시된다, 또 휠체어를 타도 ATM(현금자동입출금기)을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표준 규격을 개선한다.

최종구 금융위원장은 서울 여의도 이룸센터에서 금감원과 금융협회, 장애인단체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장애인 금융 개선 간담회와 전동휠체어 보험 협약식을 열고 이런 내용 등을 담은 ‘장애인 금융개선 방안’을 발표했다.

최 위원장은 이 자리에서 “지금까지 장애인들이 금융상품을 가입하는 데 차별적인 부분들이 존재해 왔다”며 “이를 개선하기 위해 장애인이라는 이유만으로 상품가입이 부당하게 거절되거나 가입비용이 높게 책정되는 일이 없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G03-8236672469

우선 휠체어 사용시 발생하는 불의의 사고에 대한 적절한 보장 수단을 마련하기 위해 전동휠체어 보험을 출시했다.

전동휠체어 보급은 2013년 8965대에서 2016년 1만242대까지 늘었다. 그러나 전동휠체어 보험이 없어 사고가 나더라도 금전 보상이 적절히 이뤄지지 못했다. 실례로 초등학교 4학년생을 충돌해 전치 6주 피해를 준 장애인이 배상능력이 없어 검찰에 송치되는 등 상황이 발생한 바 있다.

전동휠체어 보험상품은 사고당 2000만원, 연간 1억5000만원 한도로 보상해주되 손해액의 20%는 보험 가입자가 부담하는 구조다. 보장기간은 계약일로부터 1년간이다.

보험사는 메리츠화재이며 보험납입금은 연간 2만5000원 수준이 될 전망이다. 지체장애인협회와 생보협회에서 보험료를 일부 지원한다.

휠체어 전용 ATM은 올해 안에 이용할 수 있다. 앞으로 ATM을 설치하려면 전보다 공간을 넉넉하게 확보해야 한다. 무릎이 들어가는 공간을 종전 20cm에서 45cm로 좌우 공간을 70cm에서 80cm로 각각 늘린다.

또 숫자 키패드 위치와 순서배열, 카드·통장 입출구 위치, 이어폰 꽂이 위치를 통일해 시각장애인 혼란을 줄일 계획이다.

NSP통신- (금융위원회)
(금융위원회)

7월부터 시각·청각장애인은 통장·신용카드를 만들 때 직접 서명을 하지 않아도 된다. 기존엔 해당 장애인들이 신용카드와 통장을 발급할 때 신청서 작성과 서명에 어려움을 겪어 가입이 거절되는 경우가 있었다. 이제부터는 녹취·화상통화만으로 본인 의사에 따라 카드 등을 발급할 수 있게 된다.

전화 사용이 어려운 청각 장애인을 위해선 생보협회·손보협회와 손말이음센터가 협의해 이날부터 수화 서비스를 제공하기로 했다.

또한 경증정신질환자 실손보험 보장도 강화한다. 그동안은 신경정신과에서 수면제 처방을 받았다는 이유로 실손보험 가입이 거절되거나 불면증 진료를 받은 환자가 정신병력을 밝히지 않았다는 이유로 보험금 지급을 거절당하는 사례가 있었다. 앞으로는 이런 경우에 대해서도 실손 의료보험에서 보장해야 한다.

아울러 시각장애인용을 대상으로 지폐 구분 도구도 제작해 배포할 계획이다. 지폐 종류별로 가로 길이가 6㎜씩 차이나 나는 점을 반영해 지폐 종류를 구별할 수 있는 도구로 시각 장애인 25만명 중 8만여명이 구분 도구가 필요한 것으로 집계됐다.

최 위원장은 “장애인의 권익 개선은 사회적 약자에 대한 시혜적 조치가 아니라 우리 사회가 정의로운 사회로 가기 위한 당연한 과정”이라며“이러한 금융권의 변화가 장애인의 권익과 관련된 다른 분야에까지 전반적으로 확산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NSP통신/NSP TV 이정윤 기자, nana1011@nspna.com
저작권자ⓒ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