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내용 건너뛰기(skip to main content) 본문 바로가기(Go body) 메뉴 바로가기(Go Menu)
G03-8236672469

기업동향

현대모비스, 美 MIT와 미래차 신기술 협력 박차

NSP통신, 정효경 기자, 2019-05-06 14:24 KRD7
#현대모비스(012330) #매사추세츠공과대학 #MIT #미래차 #자동차신기술
NSP통신-현대모비스 용인 기술연구소에서 지난 3일 개최된 MIT 기술컨퍼런스에서 마이클 슈라지(Prof. Michael Schrage) MIT 슬로언 대학(경영대)교수가 현대모비스 경영층을 대상으로 차세대 IT 주제의 강연을 펼치고 있다. (현대모비스)
현대모비스 용인 기술연구소에서 지난 3일 개최된 MIT 기술컨퍼런스에서 마이클 슈라지(Prof. Michael Schrage) MIT 슬로언 대학(경영대)교수가 현대모비스 경영층을 대상으로 차세대 IT 주제의 강연을 펼치고 있다. (현대모비스)

(서울=NSP통신) 정효경 기자 = 현대모비스(012330)가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MIT)과 산학협력을 통해 미래차 신기술 분야에서 개방형 혁신에 나선다.

현대모비스는 지난 3일 경기 용인 기술연구소에서 MIT와의 산학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경영층 대상 기술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이 날 행사에는 현대모비스 박정국 사장을 비롯한 50여 명의 회사 경영진이 참석했으며 MIT 경영대학 교수이자 미국 연방정부 혁신 자문인 마이클 슈라지(Prof. Michael Schrage) 교수가 차세대 IT 를 주제로 강연을 펼쳤다.

G03-8236672469

이와 함께 이날 현대모비스는 미래기술 개발과 디지털 솔루션 등에 대한 MIT 연구결과를 청취하고 기업 혁신을 위한 의견을 나누는 자리도 가졌다.

현대모비스는 “자동차 기술의 패러다임이 ICT로 급격하게 전환되면서 신기술을 선점하기 위한 속도전이 펼쳐지고 있다”며 “MIT의 요소기술과 현대모비스의 차량시스템 기술력을 접목해 미래 융복합 기술개발을 앞당길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현대모비스는 자율주행, 커넥티드카 등 미래차 신기술 개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올해 초 MIT 산학프로그램(ILP: Industrial Liaison Program)에 가입한 바 있다.

MIT 산학프로그램은 연 특허 수입만 500억원에 달하는 요소 기술 포트폴리오와 1700여 개 동문 스타트업과 탄탄한 네트워크를 보유하는 등의 경쟁력을 자랑한다. 특히 이 프로그램은 신개념 선행기술을 상업화 단계로 구현하는데 독보적인 역량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현대차와 BMW, 삼성, LG, 혼다와 덴소 등 글로벌 기업들이 이 산학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으며 현대모비스는 국내 자동차 부품사로는 처음으로 가입했다.

MIT 산학프로그램은 경영층 기술컨퍼런스 외에도 혁신 스타트업 매칭과 MIT 프로젝트 열람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혁신 스타트업 매칭은 현대모비스가 중점적으로 필요한 기술과 MIT 출신 스타트업 풀(pool)을 연결해 개발 협력이 성사되도록 지원하는 제도다. 현대모비스는 이러한 매칭 제도를 활용해 스타트업이 보유한 첨단 선행 기술을 차량용 시스템에 빠르게 접목한다는 계획이다.

이러한 협력 활동을 통해 현대모비스는 최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오픈이노베이션을 한층 가속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현대모비스는 국내 오픈이노베이션 전담조직과 미국 실리콘밸리에 오픈이노베이션 센터인 엠큐브(M.Cube)를 운영하면서 글로벌 유망 스타트업 발굴과 글로벌 ICT 기업 등과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아울러 현대모비스는 MIT에서 주최해 미국 실리콘 밸리, 중국 선전시, 영국 옥스포드대학교 등에서 연 20여 회 정도 열리는 글로벌 컨퍼런스에도 참가할 방침이다. 이러한 기술 교류회에 미국, 유럽, 중국 등 해외연구소 연구인력들의 참여해 자사 글로벌 기술인재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신기술 동향을 적극 수집하기 위함이다.

한편 현대모비스는 국내 주요 공과대학과도 산학연 프로젝트 등 기술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소프트웨어, 센서, 전동화 기술과 첨단 사용자인터페이스 등의 4차 산업 분야에서의 협력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현대모비스는 미국, 일본 등 글로벌 공과대학과도 협력범위를 넓혀갈 계획이다.

NSP통신 정효경 기자 hyok31@nspna.com
저작권자ⓒ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