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내용 건너뛰기(skip to main content) 본문 바로가기(Go body) 메뉴 바로가기(Go Menu)
G03-8236672469

한은, “전기세·가스요금 인상, 물가 흐름 영향 클 듯”

NSP통신, 강수인 기자, 2022-12-20 10:05 KRD7
#물가상승 #기준금리인상 #통화정책방향 #한국은행 #이창용

이창용 “내년도 물가 중심 통화정책방향 운용 이어가야”

NSP통신- (한국은행)
(한국은행)

(서울=NSP통신) 강수인 기자 = 한국은행은 “유류세 인하폭 단계적 축소, 전기·가스요금 인상 정도 등 정부 정책이 향후 물가 흐름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이창용 한은 총재는 “내년도 물가에 중점을 둔 통화정책을 운영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20일 한국은행이 발간한 ‘2022년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 보고서’에 따르면 앞으로 수요 측면에서는 글로벌 통화긴축에 따른 국내외 성장세 둔화 영향으로 물가상승압력이 약화될 전망이다.

다만 전기료 등 공공요금 인상 정도, 단기적으로는 공공요금 인상에 따른 상방압력과 국제유가 하락에 따른 하방압력이 상당부분 상쇄될 가능성이 있다.

G03-8236672469

올해 1~11월중 소비자물가는 전년 동기 대비 5.1% 상승하며 물가안정 목표(2%)를 크게 상회했다. 연간 기준으로는 2008년 금융위기 수준(4.7%)을 넘어 1998년(7.5%)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나타낼 전망이다.

식료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물가는 연초 2%대 중반에서 11월중 4%대 초중반으로 오름세가 꾸준히 확대됐다. 올해 연간 상승률은 지난 2008년(3.6%) 수준을 나타낼 전망이다.

이에 대해 이창용 한은 총재는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 등의 영향으로 수요측 물가압력이 한층 높아진데다 임금상승, 원자재가격 상승 등으로 그간 누적된 비용인상압력이 여타 상품과 서비스에 반영된 결과”라며 “지난 9월중 상승률은 30여년만에 최고 수준인 9%를 기록한 바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내년 중 물가상승률이 상고하저의 흐름을 나타내면서 점차 낮아지더라도 물가목표 2%를 웃도는 높은 수준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물가에 중점을 둔 통화정책 운영을 이어나갈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내년도 기준금리 인상 기조를 지속할 것임을 시사한 것으로 해석된다.

NSP통신 강수인 기자 sink606@nspna.com
저작권자ⓒ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