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내용 건너뛰기(skip to main content) 본문 바로가기(Go body) 메뉴 바로가기(Go Menu)
G03-8236672469

광양항, 제미나이 얼라이언스 유럽향 주력노선 유치 성공

NSP통신, 김성철 기자, 2025-09-10 16:16 KRX7
#여수광양항만공사 #광양항 #제미나이얼라이언스 #유럽향메인항로 #유치

‘셔틀(Shuttle)’ 아닌 ‘원양 메인(Main)’ 서비스 유치...태평양과 대서양을 잇는 환적 허브로

NSP통신-광양항 컨테이너부두 전경 (사진 = 여수광양항만공사)
광양항 컨테이너부두 전경 (사진 = 여수광양항만공사)

(전남=NSP통신) 김성철 기자 = 여수광양항만공사(사장 직무대행 황학범, YGPA)는 광양항이 국내항만 중 유일하게 제미나이 얼라이언스의 유럽향 메인항로(AE15머스크/SE3하팍로이드)에 포함됐다고 밝혔다.

이번 유치는 제미나이의 유럽향 서비스가 국내 항만에 기항하는 첫 사례로 ‘셔틀’이 아닌 ‘직기항 메인’ 노선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셔틀은 탄중펠레파스 등 지역 허브 항만과 중소형 항만을 이어주는 제미나이의 피더 서비스이다.

제미나이 얼라이언스는 전 세계 선복량의 14.1%를 차지하는 머스크, 7.3%를 차지하는 하팍로이드가 결성한 세계 최대의 해운동맹이다. 지난 2월 제미나이는 아시아-유럽향 메인항로 7개를 개설하였으나, 국내항만은 셔틀 노선으로 기항 중이다. 선복량은 화물을 적치할 수 있는 선박 내의 모든 공간이다.

G03-8236672469

이에 대응하기 위해 공사는 지난해부터 제미나이 메인항로를 유치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포트세일즈를 추진했다. 상하이, 싱가포르 등 해외 운항본부에 직접 찾아가 프레젠테이션을 펼치고 관계자들을 국내로 초청하는 등 1년 동안의 ‘핀셋마케팅’ 결과 아시아-유럽향 메인항로 서비스를 유치하게 됐다.

금번에 유치한 원양노선은 광양항을 추가해 1만 3000TEU급 선박 15척으로 광양-닝보(중국)-탄중 펠레파스(말레이시아)-포트사이드(이집트)-차나칼레(터키)-이즈미트-암바를리-차나칼레-포트사이드-싱가포르-칭따오(중국)-광양을 기항한다.

이제 국내 화주들은 탄중 펠레파스(말레이시아) 등 환적항만을 거치는 대신 광양항에서 지중해 주요 항만까지 직기항이 가능해졌다. TEU는 Twenty-Foot equivalent Unit 약자로 20피트 길이의 컨테이너 크기를 부르는 단위이다.

현재 머스크와 하팍로이드는 광양항을 거점으로 중남미(AC3), 아프리카(FEW3), 동남아(HP2, A5 셔틀서비스) 등 전 세계 항로를 운영하고 있다. 광양항의 유럽향 직기항 서비스의 추가로 광양항은 태평양부터 대서양까지 이어지는 제미나이의 환적 네트워크 허브가 됐다.

홍상표 운영부사장은 “금번 원양항로 유치를 통해 광양항은 이집트, 튀르키예와 직접 연결되며 국제적인 환적 허브로써의 기능이 크게 강화될 것이다”며 “올해 남은 기간 동안에도 신규 항로를 적극 유치해 물동량 증대에 끊임없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공사는 제미나이 얼라이언스의 항로 유치를 기념하기 위해 오는 16일과 23일 각 선사의 첫 입항 선박을 맞이하는 환영 행사를 각각 추진할 계획이다.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G03-82366724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