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NSP통신) 강은태 기자 = 교통안전공단(이사장 오영태)은 ‘생활도로 보행환경 실태’를 조사한 결과 보행자 10명 중 8.7명이 보행 중 교통사고 위험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전국 15개 시·도 지역(제주도 제외) 생활도로 보행자 중 20세 이상 남녀 1275명을 대상으로 지난해 12월 면접 설문조사를 통해 보행자의 교통사고 위험 체감도를 조사한 결과, 약 87%가 보행 중 교통사고 위험을 느끼며, ‘자주’ 또는 ‘매일’ 느낀다는 응답은 23%를 차지해 보행자 5명 중 1명은 보행 중 교통사고 위험을 심각하게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우리나라는 인구 10만명당 보행 중 사망자수 4.1명으로 OECD회원국 평균 1.1명에 비해 4배 가까이 많이 발생(2012년 기준)하고 있다.
보행 중 느끼는 교통사고 위험의 원인으로는 자동차가 40.1%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노상적치물 또는 도로시설물 23.2%, 이륜차 22.7% 순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를 도시 규모별로 살펴보면 특별·광역시의 경우 자동차․이륜차로 인한 위험 비율이 높았고, 군·읍면 지역은 노상적치물이나 도로시설물로 인한 위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또 보행자 교통사고와 관련해 보행자의 문제점을 묻는 질문에 응답자들은 자기편의적 사고(41.1%), 준법정신 결여(28.2%), 방심 또는 무관심(21.4%) 등의 순으로 답했으며 보행안전을 위협하는 요소에 대한 해소방안으로는 ‘불법주차 단속 후 안전한 보행 공간 확충’(27.8%), ‘보차도 분리’(19.1%), ‘속도 제한 표시 및 단속 카메라 설치 운영’(14.5%) 등을 꼽았다.
한편 생활도로(이면도로)란 보도와 차도가 명확히 구분되지 않은 폭 9m 미만의 좁은 도로로, 자동차와 보행자가 뒤섞여 사고발생 위험이 높다(’13년 기준 교통사고 사망자 5,092명 중 2,944명이 폭9m 미만 도로에서 사망)
NSP통신/NSP TV 강은태 기자, keepwatch@nspna.com
저작권자ⓒ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