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내용 건너뛰기(skip to main content) 본문 바로가기(Go body) 메뉴 바로가기(Go Menu)
G03-8236672469

10월 발권도 국제노선 항공원 유류할증료 미부과 예상…국제선발권↑

NSP통신, 김용환 기자, 2015-09-21 08:15 KRD7
#항공사 #유류할증료

(서울=NSP통신) 김용환 기자 = 국내 항공사의 국제선 유류할증료는 싱가포르항공유가 평균으로 결정된다.

지난 8월 16일부터 9월 15일까지 평균 갤런당 137.04센트로 유류할증료 밴드 하단인 150센트를 2개월 연속 하회하고 있다.

신민석 하나금융투자 애널리스트는 “9월에 이어 10월에도 발권되는 모든 국제노선 항공권에는 유류할증료가 부과되지 않을 것이다”며 “9월 들어 양대 항공사 국제노선 발권자 수가 전년대비 두 자리수 이상 증가하고 있다. 메르스 영향에서 벗어나고 유류할증료가 부과되지 않으면서 국제선 발권이 늘어나고 있는 것이다”고 분석햇다.

G03-8236672469

또한 9월 말 추석과 10월 한글날 연휴가 있어 단기적으로 국제여객 수요는 긍정적이다.

공급과잉으로 만들어진 저유가는 최대 원유 생산국인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생산량을 줄이지 않아 가격을 더욱 낮추고 있다.

이는 상대적으로 채산성이 낮은 미국 셰일가스 업체들에게 시장점유율을 잃지 않으려는 전략으로 보인다.

따라서 배럴당 50달러 수준에서 급격한 유가상승 가능성은 제한적이다.

항공유는 압력과 온도의 변화에 안전하도록 정제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원유보다 5~10달러 정도 비싸다. 스프레드를 감안해도 항공유가 유류할증료 밴드 하단인 배럴당 63달러를 넘어설 가능성은 낮다.

항공사 유류할증료는 연료비 증가 또는 감소분의 50%를 커버하는 제도다. 유가가 유류할증료 밴드 하단으로 내려갔다는 것은 유류할증료를 받지 못하는 단점이 있지만 연료비가 그 만큼 더욱 감소한 것.

신민석 애널리스트는 “항공사는 연료비 비중이 높기 때문에 유가 하락에 따른 이익 개선은 9월 이후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며 “특히 장거리 노선 매출 비중이 높은 항공사의 경우 유가하락 수혜가 두드러질 것으로 예상된다. 연료소모량이 많은 장거리 노선의 경우 실질적인 유가하락의 수혜 폭이 더욱 클 것이다”고 전망했다.

본 정보(기사)는 해당 업체에서 제공한 투자 참고용 자료로 NSP통신 의견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해서는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NSP통신/NSP TV 김용환 기자, newsdealer@nspna.com
저작권자ⓒ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