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내용 건너뛰기(skip to main content) 본문 바로가기(Go body) 메뉴 바로가기(Go Menu)
G03-8236672469

주택담보인정비율 하향 조종…가격 지속 상승

NSP통신, 이동훈 기자, 2009-07-10 13:33 KRD2
#주택담보인정 #강남 #재건축 #스피드뱅크 #르네상스

(DIP통신) 이동훈 기자 = 주택담보인정비율(LTV) 하향 조정 등 정부의 부동산 대출규제 강화 방침에도 불구하고 수도권 아파트 시장은 상승세를 유지했다.

강남 재건축 등 정책 변화에 민감한 지역은 오름폭이 다소 둔화된 모습을 보였으나 동북권 르네상스 개발 수혜지와 경기지역은 가격 상승폭이 오히려 커졌다.

다만 비강남권 고가아파트는 이번 정책으로 적지 않은 타격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는 데다 총부채상환비율(DTI) 등 추가 대출규제가 검토되고 있어 전반적으로 주택 거래가 위축될 가능성도 있다.

G03-8236672469

스피드뱅크가 서울 및 수도권 아파트 매매가 변동률(7월5일~7월11일)을 조사한 결과 서울 0.11%, 신도시 0.06%, 경기 0.10%, 인천 0.05%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은 오름폭이 둔화됐지만 경기권은 상승폭이 다소 커졌다. 재건축은 서울이 0.21% 상승해 지난 주보다 오름폭이 절반 이상 둔화됐고, 경기지역도 0.23%로 나타나 상승폭이 약간 둔화됐다.

서울은 송파구(0.36%), 마포구(0.36%), 강동구(0.32%), 강남구(0.30%), 도봉구(0.17%), 노원구(0.16%), 서초구(0.15%), 은평구(0.09%), 구로구(0.09%) 등이 강세를 보였다.

특히 강남 재건축 아파트값 상승폭이 급격히 둔화됐다. 주택투기지역에 해당하는 강남3구는 LTV가 40%기 때문에 이번 규제로 큰 타격은 없지만 추가 규제가 나올 가능성이 적지 않기 때문에 거래에 다소 혼선을 빚는 모습이다.

송파구 가락시영1차 56㎡(17평형)는 한 주 동안 1000만원 오른 6억8000만~7억원 선이다. 다만 일반 아파트 거래 시장은 아직까지 양호한 수준이다. 도곡동 역삼럭키 148㎡(45평형)는 10억8000만~13억원 선으로 5500만원 올랐다.

동북권 르네상스 개발 수혜지인 노원구와 도봉구도 강세다. 최근에는 동대문구와 광진구 등 주변지역으로도 오름세가 확산되고 있다.

도봉구 방학동 우성1차 82㎡(25평형)는 500만원 오른 2억~2억3000만원 선에 거래된다. 서대문구는 북아현뉴타운 35층 아파트 건립 호재로 가격이 소폭 상승했다.

신도시는 중동(0.19%), 평촌(0.07%), 분당(0.06%) 순으로 올랐다. 중동은 2주 연속 오름세를 기록한 가운데 상승폭 또한 지난 주보다 커진 모습이다. 중동 펠리스카운티 109㎡(33평형)는 1000만원 오른 4억2000만~4억8000만원 선에 거래 가능하다.

경기는 과천시가 0.68% 올라 이번주에 가장 많이 오른 지역으로 집계됐다. 이어 수원시(0.23%), 안양시(0.19%), 광주시(0.13%), 용인시(0.09%), 의왕시(0.09%), 광명시(0.09%) 순으로 나타나 남부지역이 상승세를 주도했다. 반면 오산시(-0.16%)와 남양주시(-0.12%)는 하락했다.

과천시는 전 주보다 오름폭이 급격히 커진 가운데 3.3㎡ 기준으로 연초 2700만원 대였던 평균 매매가도 현재 3100만원 대를 훌쩍 넘어서고 있다. 원문동 주공2단지 59㎡(18평형)는 2000만원 오른 8억5000만~8억9000만원 선이다.

그 밖에 안양시는 7월 들어 중소형 아파트 매수세가 회복 추세를 보였고, 용인시는 강남 아파트 상승세로 동반 강세를 나타냈다.

안양시 비산동 삼성래미안 106㎡(32평형)는 500만원 오른 4억3000만~4억9000만원, 용인시 중동 초당마을코아루 105㎡(32평형)는 1000만원 오른 3억5000만~4억3000만원 선이다.

인천은 매수세가 회복되면서 4주 연속 오름세를 보인 가운데 평균 매매가격이 3.3㎡ 기준으로 800만원 대에 더욱 가까워졌다.

구별로는 5주 이상 보합권에 머물렀던 부평구(0.25%)와 중구(0.12%)가 강세다. 개별단지로는 삼산동 삼산타운주공7단지 105㎡(32평형)는 1000만원 오른 3억7000만~3억9000만원, 신흥동 항운 59㎡(18평형)는 500만원 오른 2억4000만~2억7000만원 선에 시세를 형성했다.

DIP통신, leedh@dipts.com
<저작권자ⓒ 소비자가 보는 경제뉴스 통신사 : DIP통신.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