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내용 건너뛰기(skip to main content) 본문 바로가기(Go body) 메뉴 바로가기(Go Menu)
G03-8236672469

포스텍·충남대 공동연구팀, 거미 발 구조 모사한 다목적 센서 개발

NSP통신, 강신윤 기자, 2017-12-19 18:41 KRD7
#postech #포스텍 #포항공대 #포항시

거미의 민감한 '촉'이 전신마비 환자의 '입'으로

NSP통신- (포스텍)
(포스텍)

(경북=NSP통신) 강신윤 기자 = POSTECH(포항공대, 총장 김도연) 기계공학과 임근배 교수․전형국 연구교수, 충남대 기계공학부 조성진 교수팀은 거미 발의 시스템을 모사해 금속층의 나노 구조물을 만들고, 이를 이용한 센서와 모스부호 기반의 의사소통 시스템을 개발했다.

연구팀은 연구결과를 ACS 어플라이드 머터리얼즈 앤 인터페이스(ACS Applied Materials & Interfaces)를 통해 발표했다.

연구팀은 관절의 움직임은 물론 피부가 움찔하는 정도의 미세한 움직임도 모두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개발하기 위해, 촉각이 특히 예민한 거미의 발의 구조를 분석했다.

G03-8236672469

발 구조를 모사해 나노 크기의 크랙(crack)을 만들고 이 구조를 이용해 신축성과 변형률을 감지하는 센서를 만들었다.

특히 해당 연구에서는 나노 크랙 구조의 최적화 과정을 통해 센서의 측정 범위를 극대화함으로써, 맥박과 같은 미세한 움직임뿐만 아니라 관절 부위의 큰 움직임 측정에도 센서를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또 연구팀은 눈에 보이지 않는 떨림조차 측정할 수 있는 높은 민감도를 가지는 이 센서를 이용해 손끝의 미세한 움직임이나 눈 깜빡임과 모스부호를 이용해 전신마비 환자들이 사람들과 의사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도 함께 선보였다.
눈 깜빡임의 길이를 모스부호에 대입해 하고 싶은 말을 전달하도록 하는 것이다.

개발한 센서는 웨어러블 장치에 부착해 자가진단할 수 있는 스마트 헬스케어 시스템은 물론, 의료로봇 등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무엇보다 이 센서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으면서도 다른 센서에 비해 간단하고 저렴한 공정을 이용해 상용화에서도 크게 유리하다는 점에서 산업계의 관심이 높다.

한편, 삼성전기 논문대상 동상을 수상했던 이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 산업통상자원부의 지원으로 수행됐다.

NSP통신/NSP TV 강신윤 기자, nspdg@nspna.com
저작권자ⓒ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G03-82366724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