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내용 건너뛰기(skip to main content) 본문 바로가기(Go body) 메뉴 바로가기(Go Menu)
G03-8236672469

캠코, 올해 총 3000억원 규모 ‘녹색채권’ 발행…‘친환경 공공개발’ 확대

NSP통신, 정의윤 기자, 2023-06-27 11:38 KRX7
#캠코 #녹색채권 #친환경공공개발 #그린리모델링 #ESG
NSP통신- (이미지 = 캠코)
(이미지 = 캠코)

(서울=NSP통신) 정의윤 기자 = 한국자산관리공사(사장 권남주, 캠코)는 최근 기후·환경 위기에 따른 공기업으로서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해 친환경 공공개발을 확대한다. 이에 따라 올해 말까지 총 3000억원 규모의 녹색채권을 발행한다고 밝혔다.

캠코는 국가, 지방자치단체 소유 부동산에 대한 위탁개발을 통해 공공시설을 적기에 공급하며 공공 자산의 가치를 높이고 있다. 최근에는 공공개발시 제로에너지ㆍ스마트 청사 건립, 노후 건물 그린리모델링 등 친환경 방식의 개발 확대를 도모하고 있다.

이를 위해 캠코는 개발 비용 조달을 목적으로 녹색채권을 발행할 방침이다. 녹색채권은 사회적책임투자채권(ESG채권)의 한 종류다. 신재생에너지 등 친환경 프로젝트나 사회기반시설 등에 투자할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발행하는 특수목적 채권이다.

G03-8236672469

이에 따라 캠코는 1000억원 규모의 녹색채권 발행을 시작으로 올해 하반기 2000억원을 추가로 발행하는 등 연말 까지 모두 3000억원 규모의 녹색채권을 발행할 계획이다.

녹색채권 발행을 위해 캠코는 지난 2022년 12월 프로젝트 적격성, 자금 운영체제 등을 평가하는 ‘ESG 금융상품 인증 평가’를 실시했다. 평가를 통해 외부평가기관이 부여하는 등급(GB1)을 획득했다. 이를 통해 투자 신뢰성과 자금 투명성을 확보하여 친환경 공공개발 확대의 기반을 다졌다.

권남주 캠코 사장은 “성공적인 채권 발행을 통해 ‘캠코형 ESG 가이드라인’에 기반한 친환경 공공개발을 수행할 것”이라며 “앞으로도 우리사회의 지속 가능성과 가치를 높이는 데 일조하며 캠코에 주어진 사회적 책임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캠코는 가계·기업의 코로나19 피해업종 금융지원 등을 위해 지난 2021년부터 2023년 6월까지 2조 7000억원 규모의 ESG채권(사회적채권)을 발행한 바 있다.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