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NSP통신) 설희 기자 = 한국투자증권은 다른 금융사로부터 이전된 퇴직연금 자금을 상장지수펀드(ETF)를 비롯한 실적배당형 상품에 주로 투자해 실적향상을 기대하게 한다.
4일 한국투자증권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1일부터 올해 3월 20일까지 타사에서 이전된 퇴직연금 DC · IRP 적립금 중 61.2%가 실적배당형 상품에 투자됐다. 이는 유입 당시 32.7%에 불과하던 실적배당형 상품 비중이 반년도 채 안돼 두 배 가까이 증가하게 된 것이다.
상품 중에서는 상장지수펀드(ETF)에 투자한 비중이 27%로 가장 많았고 이어서 펀드(20.8%)와 채권(13.4%) 순이었다.
퇴직금 실물이전 제도 시행에 따라 적립금 중 71.7%는 운용 중인 상품 그대로 이전됐다. 이전 고객은 50대가 38.8% 비중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은 40대(24.2%), 30대(18.4%), 60대 이상(15.1%) 순이었다. 이는 비교적 연금 수익률에 민감한 중장년층이 제도 시행 초기에 빠르게 움직였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한국투자증권의 실적배당형 상품 투자 비중은 전체 퇴직연금사업자의 평균을 크게 웃돌았다. 지난해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3년도 퇴직연금 적립금 운용현황 통계’에 따르면 전체 DC형 계좌의 평균은 18.1%, IRP는 27.9%에 그친 바 있다.
한국투자증권은 지난해 업계 최초로 퇴직연금 상장지수펀드 자동 적립식 투자 서비스를 선보인데 이어 올해는 장내채권 매매 서비스도 내놓을 예정이다.
김순실 한국투자증권 퇴직연금운영본부장은 “연금자산을 적극적으로 운용해 수익률을 높여야 한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면서 “실물이전 제도 도입 초기부터 많은 퇴직연금 적립금이 순유입되고 있는 만큼 운용 시스템에 대한 정비와 인적 역량 향상에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