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NSP통신) 강수인 기자 = 저축은행 업권과 만난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은 이번에도 ‘금융소비자보호’를 강조했다. 또 부실 프로젝트파이낸싱(PF) 원인이 ‘단기 수익에 치우쳤기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이와 함께 저축은행의 건전성에 대한 우려가 불식되면 M&A 관련 규제 완화 등 영업규제 완화 논의도 탄력을 받을 것이라 전망했다.
4일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은 11개 저축은행 CEO 및 저축은행중앙회장과 간담회를 개최해 금융소비자보호에 바탕을 둔 저축은행의 지속 가능한 발전 방향과 저축은행 업계의 건의사항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이 원장은 “저축은행 업권이 시장 신뢰를 회복하고 바람직한 방향으로 성장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금융소비자 보호”라며 “금융소비자 보호는 금융회사의 종국적인 경영목표로 인식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저축은행 건전성 악화의 원인이 된 부실PF도 따지고 보면 금융소비자에 대한 고려보다 단기수익성에만 치중한 결과로도 볼 수 있다”고며 “양적 성장과 단기 수익에 치우치면서 지역과 서민 대상 자금공급이라는 본연의 역할에 충실하기보다 고위험 부동산 대출에 치중한 측면이 있다”고 꼬집었다.
저축은행 업권은 PF 4차 정상화 펀드를 조성해 부실 PF를 매각한 결과 지난 6월말 1조 2000억원 규모의 부실 사업장 정리를 완료했다.
이 원장은 “신속한 건전성 회복은 저축은행이 금융소비자의 신뢰를 받는 거래상대방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한 선결 조건이라고 하겠다”며 “저축은행 업계의 숙원사항인 영업규제 완화(영업구역 제한 및 M&A 관련 규제 완화 등) 논의도 건전성에 대한 우려가 불식되고 나면 탄력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헀다.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