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NSP통신) 강수인 기자 =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이 금융연구기관장들을 만나 “‘진짜 성장’을 위한 금융의 적극적인 역할이 필요한 시기”라며 “장기적 안목에서 금융권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해달라”고 당부했다.
23일 이 원장은 7개 국내 연구기관장과 여의도 금융투자협회 중회의실에서 간담회를 개최해 한국 금융의 당면 과제인 ‘자본시장 발전과 생산적 금융’, ‘인구 구조 변화에 따른 금융의 역할’ 등에 대해 심도 있게 논의하고 금융권이 나아갈 장기적인 방향에 대한 연구기관의 적극적 제언을 당부했다.
이 자리에는 이향용 금융연구원장, 김세완 자본시장연구원장, 안철경 보험연구원장, 송원근 현대경제연구원장, 김원준 삼성글로벌리서치 소장, 정신동 KB경영연구소 소장, 박정훈 우리금융연구소 대표 등이 참석했다.
이찬진 원장은 “우리 경제는 신성장 산업의 육성을 위해 기업의 창업, 성장, 사업재편에 이르는 성장단계에 따라 맞춤형 자금공급이 필요한 상황”이라며 “금감원은 은행·금투·보험 등의 고유한 투자위험 선호도와 감수능력에 맞춰 부동산에 쏠린 자금이 혁신성장 부문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금융권과 소통하고 관련 제도를 개선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고령화 대비를 위해 금융 수요를 소비와 투자, 복지로 연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찬진 원장은 “금융권은 부동산에 묶여있는 고령층 자금을 다양한 연금·신탁상품으로 유동화해 소비 또는 투자로 연결해야 한다”며 “건강관리와 주거를 결합한 노인복지주택 등의 사업을 리츠와 연계시행한다면 자본시장 발전과 복지 증진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이향용 금융연구원장은 “인구구조 변화뿐 아니라 기후변화, 지방소멸 등과 관련해 금융회사의 적극적인 역할이 필요하다”며 “인구감소 등을 고려하면 장기적으로 부동산 중심 금융은 지속가능하지 않으며 금융회사의 경쟁력과 건전성에도 부정적일 수 있다”고 밝혔다.
김세완 자본시장연구원장은 “우리 경제의 성장동력 확충과 주식시장 코리아 프리미엄 실현을 위해 기업지배구조 개선, 기업법제 선진화 등 자본시장 혁신이 중요하다”며 “모험자본 생태계 확대와 벤처·스타트업 등 혁신기업에 대한 자금지원 강화를 통해 성장동력을 확충하고 글로벌 첨단기술 경쟁력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박정훈 우리금융연구소 대표는 “과거 고도성장기에 축적된 금융자원이 우리 경제의 미래 발전을 위해 활용될 수 있도록 금융회사가 생산적 금융 활성화를 주도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