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내용 건너뛰기(skip to main content) 본문 바로가기(Go body) 메뉴 바로가기(Go Menu)
G03-8236672469

용인문화재단, 제2회 대한민국대학연극제 ‘팔로우업’ 여정 마무리

NSP통신, 김병관 기자, 2025-11-07 18:17 KRX7 R0
#용인문화재단 #제주팔로우업 #대학연극제 #플레이백씨어터 #선흘그림할망

“나의 이야기가 연극이 되다”

NSP통신-제2회 대한민국 대학연극제 후속 프로그램 팔로우업(Follow-Up) 참여 청년 연극인들 기념촬영 모습. (사진 = 용인문화재단)
fullscreen
‘제2회 대한민국 대학연극제 후속 프로그램 ‘팔로우업(Follow-Up)’ 참여 청년 연극인들 기념촬영 모습. (사진 = 용인문화재단)

(경기=NSP통신) 김병관 기자 = 경기 용인문화재단(이사장 이상일)은 제주의 예술협동조합 씨알에이(C.R.A, 대표 최유라)와 협력해 추진한 ‘제2회 대한민국 대학연극제 후속 프로그램 ‘팔로우업(Follow-Up)’을 지난 3일 제주에서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팔로우업’은 제2회 대한민국 대학연극제에 참여했던 청년 연극인들이 축제 이후에도 창작과 교류를 이어가기 위해 마련된 후속 프로그램이다.

참여자들은 지난 9월 말부터 ‘플레이백씨어터(Playback Theatre) 워크숍’을 통해 서로의 이야기를 나누고 10월 한 달간 네 개의 팀으로 나뉘어 각자의 경험을 바탕으로 짧은 즉흥극을 만들어보는 ‘창작 모임’을 가졌다.

G03-8236672469

이후 ‘PMP(Play Mapping Project): 제주를 걷다’에서 심화 워크숍을 진행하고 서귀포의 보롬왓에서 각 팀이 준비한 짧은 극을 게릴라 형식으로 선보였다.

더해 제주 조천읍 선흘리의 예술가공동체 ‘선흘그림할망’을 찾아가 그들의 그림 전시 ‘기막힌 신들의 세계를 관람하고 할머니들이 들려주는 삶의 이야기를 즉흥적으로 장면화하는 시간을 가졌다.

문유빈 단국대학교 연극전공 학생은 “그림할망과 친구들의 삶을 듣고 즉흥으로 장면을 만들어보는 순간 진짜 이야기가 가진 힘을 느꼈다”며 “정해진 대본이 아닌 사람의 기억과 감정에서 출발하는 연기가 이렇게 깊을 수 있다는 걸 깨달았다. 같은 꿈을 가진 친구들과 이 경험을 함께할 수 있어 오래 기억에 남을 것 같다”고 소감을 전했다.

특히 이번 과정을 기록한 미니 다큐멘터리 영상이 제작돼 청년 예술인들의 창작 여정과 지역 간 예술 교류의 의미를 용인 시민을 비롯한 더 많은 사람들과 공유할 예정이다.

‘팔로우업’은 이상일 용인특례시장(대회장)이 제2회 대학연극제 기간 중 밝힌 “젊은 연극인들이 성장과 교류를 이어갈 수 있도록 후속 프로그램을 마련하겠다”는 의지를 실현한 사업으로 용인특례시는 앞으로도 대학 참여자 중심의 창작 워크숍, 교류 프로그램, 후속 창작 지원 등을 지속적으로 운영하며 청년 예술인들이 지역과 세대를 잇는 문화 환류의 주체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G03-82366724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