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륜
2024~2025 빅매치로 알아본 다가오는 그랑프리 전망
(경기=NSP통신) 김종식 기자 = 올해 남은 경륜 빅매치는 내달 26∼28일 열리는 그랑프리 경륜, 단 한 차례가 남았다. 지금 경륜은 전체 성적 상위 112명(16경주×7명) 선수들에게 주어지는 그랑프리 출전권을 두고 막판 경쟁이 한층 더 치열해지고 있다.
23년과 24년 두 시즌 연속 그랑프리 우승과 준우승을 독식한 임채빈(25기, SS, 수성)과 그랑프리 5회 우승에 빛나는 정종진(20기, SS, 김포)의 양강 체제가 여전한 가운데 팬들의 관심은 그랑프리에서 제3의 선수로 누가 떠오를지에 집중되고 있다.
◆빅매치 14회 연속 동반 입상, ‘두 거인의 진기록’
지난해 그랑프리 챔피언 임채빈은 지난해와 올해 지방에서 열린 특별경륜을 포함해 큰 대회에서 11회 우승과 4회 준우승으로 절대 강자의 면모를 보인다. 한편 정종진은 4회 우승, 10회 준우승을 기록하며 양대 산맥의 위용을 자랑 중이다.
두 선수는 지난해 4월부터 무려 16회 동반 입상이라는 진기록을 세우며 경륜 역사에 발자취를 남기는 중이다.
◆류재열·공태민·황승호 약진

그렇다면 ‘임채빈·정종진 독주 체제’를 깨뜨릴 제3의 주자를 꼽는다면 누가 있을까? 대상 경주만을 놓고 본다면 가장 최근의 사례는 지난해 2월 임채빈에 이어 준우승을 차지한 정해민(22기, S1, 수성)이 유일한 사례였다. 하지만 정해민은 최근 잦은 부상으로 20위권 밖으로 밀려 큰 대회 결승 무대에 오르지 못하고 있다. 또한 지난해 일반경주에서 임채빈의 75연승을 저지한 경륜 8학군 동서울팀 전원규(23기, S1, 동서울)도 올해는 부진을 거듭하고 있다.
반면 약진하는 선수들도 있다. 바로 류재열(19기, SS, 수성)과 공태민(24기, S1, 김포)이다. 류재열은 최근 큰 대회에서 6회 연속 결승전에 진출하는 상승세로 전체 성적 3위를 달리고 있다. 공태민 역시 올해 6월 경륜 왕중왕전과 지난 11월 2일 대상 경륜에서 3위를 기록, 신흥 강자로 급부상했다.
한편 황승호(19기, SS, 서울 개인) 역시 올해 부산 특별경륜에서 3위를 기록했고, 최근 4회 연속 큰 대회 결승전 진출권을 따내며 활약 중이다.
◆신예 돌풍 예고, 김우겸·박건수 ‘루키 돌풍’ 주목

신예들의 약진도 눈에 띈다. 김우겸(27기, S1, 김포)은 올해 3회 대상 경륜 결승전에 진출해 주목을 받았다. 최근 11월 대회에서도 입상에는 실패했지만, 역주를 펼치며 활약했다. 이외로도 박건수(29기, S1, 김포), 김옥철(27기, S1, 수성), 석혜윤, 손제용(이상 28기, S1, 수성) 등 27∼29기 신예 선수들도 한 차례씩 대상 경륜 결승전 무대를 밟으며 성장 가능성을 입증하고 있다.
앞으로 남은 한 달, 이들 신예가 그랑프리의 새 얼굴로 반란을 일으킬 수 있을지 기대가 모인다.
예상지 경륜위너스 박정우 부장은 “임채빈과 정종진의 무게감은 여전히 크다. 임채빈 또는 정종진이 그랑프리를 또다시 거머쥘지, 아니면 새로운 황제가 즉위할지 이제 모두의 시선이 그랑프리로 향하고 있다”라며 기대감을 전했다.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