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NSP통신 강은태 기자) = 한국이 보행 중 교통사고 사망자수에 있어 OECD 국가 최하위로 나타났다.
교통안전공단(이사장 정일영)은 OECD 국가별 교통사고 발생현황을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의 인구 10만 명당 보행 중 교통사고 사망자수(4.1명)가 OECD 평균(1.4명)에 비해 3배나 높은 최하위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또 전체 교통사고 사망자수 대비 보행 중 사망자수 비율도 39.1%(전체 사망자수 5229명 중 보행 중 사망자 2044명, 2011년 기준)로 OECD 국가 중 최하위에 해당됐다.
우리나라 보행자 교통사고 현황을 시도별로 분석해보면, 서울·경기 지역이 전체 보행자 교통사고의 40.4%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했고, 부산 8.0%, 경남 6.3%, 대구 6.2%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제주가 1.7%로 가장 적게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
보행자 교통사고의 원인을 분석해보면 최근 5년간 횡단 중에 발생하는 보행자 사고가 전체 보행자 사고의 64.9%를 차지했는데, 무단횡단(횡단 중, 차도통행 중)이 보행자 사망사고의 주된 요인으로 추정된다.
특히, 보행자 교통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한 서울시 보행자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2012년 4월)한 결과, 서울시민 10명중 4명(43%)이 ‘무단횡단 경험이 있다’고 답해 시민들의 교통안전의식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교통안전공단은 보행자 교통사고를 예방하고 보행자 우선의 선진 교통문화 정립을 위해 보행자 사고가 많은 서울을 기점으로 전국적인 횡단보도 이용 및 교통신호 준수를 위한 보행자 사고다발지점 집중 캠페인을 벌이는 등 다양한 보행자 교통사고 예방대책을 추진하고 있다.
keepwatch@nspna.com, 강은태 기자(NSP통신)
<저작권자ⓒ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