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내용 건너뛰기(skip to main content) 본문 바로가기(Go body) 메뉴 바로가기(Go Menu)
G03-8236672469

20대총선

신정훈vs손금주 뜨거운 나주·화순

NSP통신, 김남수 기자, 2016-04-12 12:47 KRD5
#신정훈 #손금주 #나주 #화순

뜨거운 열기속 나주·화순 선거구 지역전망

NSP통신-스킨쉽을 강점으로 평가받는 신정훈후보(좌), 손금주후보와 천정배 대표 (우)
스킨쉽을 강점으로 평가받는 신정훈후보(좌), 손금주후보와 천정배 대표 (우)

(전남=NSP통신) 김남수 기자 = 4·13총선이 코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새누리당 김종우·더민주 신정훈·국민의당 손금주 후보가 출사표를 내민 전남 나주·화순 지역구 사전 투표율(20.41%)을 기록하며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더민주와 국민의당의 양당 구조가 자리를 잡고 있지만 더민주 신정훈 후보가 앞선다는 평이 우세하다.

KBC광주방송이 5일 발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신정훈 더민주 후보가 41.7%를 얻어 33.5%를 얻는데에 그친 손금주 국민의당 후보를 8.2%p차 앞섰다.

G03-8236672469

정치 신인인 손금주 후보가 광주전남의 국민의당의 녹색바람을 타고 현역의원인 신정훈 후보를 따라가는 듯 했지만 아직은 준비가 부족하다는 여론이다.

손금주 후보는 지난 3월 나주지역 4개 신문사가 주최한 토론회를 비롯 4일 CMB광주방송 TV토론회와 8일 한전이주를 게기로 진행된 에너지포럼에서 주최한 에너지정책 토론회를 불참하고 당대표들과의 유세일정에 참석했다. 특히 CMB광주방송 토론회는 50분간이나 신후보가 단독출연해 나홀로토론회로 진행됐다.

이번 총선은 선거기간이 짧아 후보들의 정책과 소신을 알리는 정책토론회의 중요성이 컸다. 특히 정치 신인들에게는 TV토론회는 유권자에게 얼굴을 알릴 수 있고 능력과 소신을 피력할 수 있는 기회였지만 정치 신인 손금주 후보는 시민들과 약속보다 당 대표들을 택했다.

이에 나주시민들의 알권리를 무시하고 후보들의 정책 검증 기회까지 침해했다는 비난의 역풍을 맞았다.

일각에서는 손 후보가 신 후보와의 자질과 능력 정책 검증을 부러 회피하는 것 아니냐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러한 정치신인에 시민들이 어느 정도 호감을 나타낼 것인지 의문이 드는 것은 부인하기 어려운 사실이다.

또한 율촌 법무법인 변호사로 현대자동차, 현대모비스, SKT, GS칼텍스 등 대기업변호를 맡아온 파워엘리트인 손 후보가 영세민들이 대다수인 나주 시민들의 정서와 감정에 녹아들 수 있을까라는 의문이 비등해지고 있는 상황이다.

반면 신정훈 후보는 농민운동가 출신으로 도의원, 나주시장을 거치며 나주시민들과 끊임없는 스킨쉽을 가졌다는게 장점으로 작용하고 있다.

하지만 신 후보는 전과이력이 발목을 잡고 있다. 이에 신 후보 측은 “민주화운동과정과 농민운동과정에서 이뤄진 점과 개인비리가 결코아닌 과도한 규제로 인한 시장으로서의 정치적 행위로 인한 벌금형이다”고 해명했다.

이를두고 지역민들도 민주화 농민운동 투사로 나주시를 위한 일이였지 개인적인 치적을 위한 일이 아니라며 오히려 나주시민들은 신 후보를 격려하는 입장이다.

또한 국민의당의 녹색바람이 돌풍을 일으키고 있는 시점에 문재인 대표가 지난 8일 김종인 비상대책위 대표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광주 호남을 찾아"호남이 지지를 거둔다면 대선불출마는 물론 정계은퇴까지 감수하겠다"는 마지막 승부수를 던졌다.

문 대표의 호남 방문에 일단 여론은 긍정적 반응이 많아 ‘표심’의 효과까지 이어질 것이라는 분석도 따르고 있어 신 후보에게는 긍정적인 반응이다.

이러한 복한적인 요인들이 작용하며 나주·화순 선거구는 혼란스럽지만 야권분열으로 선택의 폭이 넓어진 시민들은 후보 검증의 기회가 생겨 즐겁다는 반응이다.

야권분열 이후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이 처음 정면으로 맞붙는 대결이란 점에서 그 결과에 대해 귀추가 주목되고 있는 가운데 신 후보는 △에너지산업글로벌 허브 구축 △영산포와 나주 원도심 재생과 문화도시 조성 △나주역을 전남 남부 관문역으로 육성 △백신글로벌 허브 구축 △교육여건 개선 △농산물최저가 보장제 도입 등 공약을 제시했다.

이에 맞서 손 후보는 총선 공약으로는 △혁신도시와 구도심간 균형발전 △농촌 바이오산업 육성 및 디지털 생산 육성체계 구축 △영산강 개방 중장기사업 추진 △전남대 화순 이전과 헬스케어 기반 의료서비스 환경 조성 등을 제시했다.

NSP통신/NSP TV 김남수 기자, nspns@nspna.com
저작권자ⓒ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