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내용 건너뛰기(skip to main content) 본문 바로가기(Go body) 메뉴 바로가기(Go Menu)
G03-8236672469

전남도청, 곪을대로 곪은 언론환경 대대적 수술 필요

NSP통신, 정상명 기자, 2018-07-23 15:37 KRD2
#전라남도

이철 도의원 “특정 신문사만 기자 간담회”
전남도민 A씨, “2017년도 청렴도 평가 13위 고질적 행태” 비난

NSP통신

(전남=NSP통신) 정상명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6·13 지방선거 이후에 강력한 부정부패척결을 선언했다. 이는 적폐청산을 내세워 새로운 시대에 맞는 대대적인 국가질서를 바로 잡겠다는 것이다.

문재인 정부 2차 반부패정책협의회에서 지방권력이 해이되지 않게 토착비리를 근절하라고 강력 지시한 바 있다. 향후 지방권력과 토착비리세력에 대한 사정의 칼날이 어떤 결과를 내놓을지도 주목이 되는 지점이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전남도청 언론환경은 일부언론사 위주로만 극진한 대접(?)을 해오고 있어 '적폐' 논란이 확산될 조짐이다.

G03-8236672469

전남도청 홍보팀은 매일 그날의 헤드라인 기사를 가칭 전남도청 출입기자단 7개 업체만 스크랩해서 도지사·국장·과장에게 보고한다. 이로 인해 도청 공무원들은 그들에게만 고급 소스 이른바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는 것.

현재 전남도청 상시출입 언론사 27개사, 수시출입 언론사 101개사, 도 등록 간행물 257개사 등이 등록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철 도의원 “특정 신문사만 기자 간담회” 하나?

이철(기획행정위원회, 완도) 전남도의원은 지난 18일 개최된 제324회 전남도의회 임시회에서 전남도청 최형열 대변인을 상대로 한 질의·답변 내용이다.

이철 도의원의 첫 질문에서 전남도 관계자는"7개 신문사와는 저희하고 저작권 사용 협약이 돼 있다"고 답변했다. 이 의원은"지방지 7개 신문사만 스크랩한 이유가 뭐냐, 소통도 7개 지역 지방지만 소통한다 이 말이냐"라면서"7개 회원사, 이 신문사들이 광주에 등록돼 있다. 전남도에 등록된 신문사는 (스크랩이)하나도 없다. 여기 와서 세금을 단 돈 1원을 내는 것도 아니고 모든 혜택을 다 받고 있다. 광주는 전남도와 행정구역상 다르잖느냐. 왜 7개 신문사만 저작권료 협약을 했냐"고 캐물었다.

이와 관련해 최 대변인은"7개 신문사와는 저희하고 저작권 사용 협약이 예전부터 돼 있었다면서 생각을 깊이 해보겠다"고만 답변했다. 이 의원은 재차"특정 신문사에게만 기자 간담회, 기자 회견, 모든 자료를 제공하고 (특정신문사)기자실에 출근도 안 한다. 때문에 현재 부스가 설치돼 있는 기자실을 폐쇄해야 되고 브리핑룸을 만들어서 모든 기자들이 와서 보도자료를 보고 할 수 있게끔 기회를 줘야 된다"고 말했다.

이어 “이래가지고 어떻게 전 언론하고 소통하고 도민과 소통이 되느냐. 특정 언론하고만 소통을 하고 있는데…, 또 도지사 간담회를 할 때 회원사 기자만 초청을 한다. 어떻게 생각 하느냐”고 되물었다.

이에 최 대변인은"특정 언론하고만 소통을 하고 있지는 않다"면서"또한 전체적으로 간담회를 한 적은 지금까지 없었다. 다만 면담을 요청한다든가 했을 때는 지사님과 수시로 만난다"고 답변해 특정언론사 외에 전체적으로 간담회에 초청한 적이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철 의원은 기자와의 인터뷰에서"전남도청 출입기자가 100명이면 7명과 소통하는 것보다 93명의 기자와 소통해야 되는게 맞지 않겠냐며 도지사님에게 건의할 의향도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소수의 저항이 심하면 기자실 폐쇄와 업무추진비·광고비가 7사에 어떻게 사용됐는지 계속 드려다 봐서 문제가 있다면 집행부를 향해 쓴 소리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 일부 언론사 관계자는"전남도청 기자실을 칸막이 없이 터야한다. 넓은 기자실이 필요하다"면서"모두가 똑 같은 대우가 필요하다. 민선7기는 개선될 것으로 확신한다"고 강조했다.

▲도민 A씨, “2017년 전남도 청렴도 평가 13위···'고질적 행태'”

이에 대해 전남도의 도민 A씨(52)는"김영록 지사가 지난 달 당선인 시절에 전남도의 국민권익위 청렴도를 올해 3위로 끌어 올린다고 했으니 두고 볼 일이다"면서"지난 해(2017년) 청렴도 평가에서 13위에 머물러 최하위 수준을 면치 못하고 있는 것은 이러한 전남도의 고질적인 행태도 문제를 삼아야 한다“며 적폐청산을 요구했다.

한편 전남도청 언론환경 뿐만 아니라 전남도 시·군 언론환경도 변화와 개선이 뒤따라야 한다는 지적과 각급 공공기관들은 시대에 걸맞는 언론관으로 국민들을 상대해야 한다며 입을 모으고 있다.

NSP통신/NSP TV 정상명 기자, jsgevent@nspna.com
저작권자ⓒ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