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NSP통신) 김빛나 기자 = 국내 시중은행이 미국 핀테크 기업의 대출기법을 도입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은행들이 변화에 빠르게 대응하지 않을 경우, 미국처럼 핀테크 기업에 중소기업 대출 시장을 뺏길 수 있다는 것.
14일 하나금융경영연구소에 따르면 미국 은행의 중소기업 대출은 감소하고 있으나 핀테크 기업의 중소기업 대출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미국 은행의 중소기업 대출 비중은 2004년 34.8%로 정점을 찍은 후 지난해 20.8%까지 떨어진 반면, 핀테크 기업의 작년 중소기업 대출은 전년보다 50% 증가한 120억달러를 기록했다.
기존 은행이 리스크 관리 차원에서 중소기업 대출을 엄격히 제한한 반면 핀테크 기업은 IT를 기반으로 대출 기법을 발전시켰기 때문이라는 게 연구소의 설명이다.
미국의 핀테크 기업인 비즈투크레딧(Biz2Credit)의 경우, 개인 신용점수, 총부채상환비율(DTI), 매출액, 현금흐름, 대출상환 기록 등의 변수를 수집 분석해 0~100점을 부여하는 대출기법을 개발했다.
정보를 제공한 중소기업에 대출할 때 우대 혜택을 주면서 기업 정보를 축적한 비즈투크레딧은 이런 축적된 정보를 통해 중소기업에 대한 리스크 관리를 해 나갈 수 있었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안성학 수석연구원은 ”중소기업 대출에서 정보 부족이 대출의 가장 큰 걸림돌“이라며 ”국내 은행도 핀테크 기업들의 대출 기법을 도입해 중소기업 대출을 확대하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NSP통신/NSP TV 김빛나 기자, kimbn@nspna.com
저작권자ⓒ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