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NSP통신) 강수인 기자 = 산업재해로 인해 일어난 사망 사고와 관련해 이재명 대통령이 관리·감독 강화에 대한 발언을 내놓자 금융권이 긴장하고 있다. 지난달 말 국무회의에서 중대재해 기업 여신심사 강화와 관련해 이 대통령이 “재미있는 것 같다”고 답했기 때문이다.
◆중대재해 기업 여신심사 강화?…“세부안 필요”
이날 열린 국무회의에서 이 대통령이 산업재해로 인해 사망사고가 반복되는 것을 재차 지적했다. 이와 관련해 금융권도 중대재해 기업 여신심사를 강화하는 방안을 마련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은행권은 부동산PF 등 건설업체와 관련된 대출이 상당한 수준이라 중대재해로 기업의 대출을 막아서면 이로 인해 수익 악화와 돈의 흐름이 막혀 뜻밖의 피해자가 나올 가능성이 있어 세부적인 안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내놨다.
◆신한은행, 10월까지 대출모집인 주담대·전세대출 중단
신한은행이 오는 10월 말까지 대출모집인을 통한 주택담보대출과 전세대출 접수를 받지 않는다. 지난 6월말부터 수도권 주담대 실행분에 대한 접수를 중단한 이후 지난 9월까지 확대했고 오는 10월분도 접수를 받지 않는다. 또 중단 대상에 전세자금대출이 추가됐고 지역도 수도권에서 전국으로 확대된다.
◆상반기 해외 주식투자 500억달러 육박…‘역대 최대’
한국은행에 따르면 국제수지 금융계정 내 ‘증권투자 주식(자산)’이 상반기 486억 8000만달러로 집계됐다. 전기 대비 3배 가까이 늘어난 수준이다. 이는 개인, 기업, 기관 등 국내 거주자가 해외에 주식을 사들인 순투자액을 나타낸다. 정부가 코스피 5000시대를 열겠다면서도 노란봉투법, 상법개정안 등 기업에 부담이 되는 법안을 발의한데 이어 세제개편안까지 투자자에게 실망감을 안겨주면서 국내 주식시장에 대한 불신이 깊어졌다는 해석이 나온다.
◆올 들어 정부, ‘한은 마통’ 114조원 땡겼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박성훈 국회의원(국민의힘)이 한국은행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정부는 올해 들어 지난달 말까지 한국은행에서 누적 113조 9000억원에 달하는 자금을 빌린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기준 역대 최대 수준이다.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