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NSP통신) 옥한빈 기자 = 올해 국정감사에서는 식품·프차업계도 칼바람을 피하기 어려워 보인다. 주요 기업 대표들이 잇따라 증인으로 소환됐고 질의내용도 산업재해, 직장 내 괴롭힘, 가맹점주 갈등 등 사회적 논란이 이어진 예민한 사안들이다. 담당 상임위는 한노위, 정무위 등 다양하다. 특히 정권이 바뀐 후 진행되는 첫 국정감사인 만큼 기업들에 어떤 철퇴가 내려질지 지켜볼 만하게 됐다.
구체적인 각 상임위 주요 증인으로는 먼저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환노위)에서 ▲도세호 SPC 대표 ▲김기원 한국맥도날드 대표를 택했다. SPC는 삼립 시화공장 기계끼임 사망 사고 관련, 맥도날드는 직장 내 괴롭힘으로 인한 근로자 사망 관련이다.
정무위원회(정무위)에서는 ▲장보환 하남에프앤비 대표 ▲송종화 교촌F&B 대표 ▲이종근 명륜당 대표를 택했다. 하남에프앤비는 가맹사업법 위반 사건, 교촌은 가맹점주와의 갈등과 보복, 명륜당은 가맹점주 대상 불법 대부업 영위 관련이다.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농해수위)에서는 문진섭 서울우유협동조합 조합장을 증인으로 불렀다. 갑질 및 특정 업체와의 부당계약, 일감 몰아주기 등 각종 비리 관련해 질의가 이뤄질 예정이다.
행정안전위원회(행안위)는 올해 논란의 중심이었던 백종원 더본코리아 대표를 채택했다. 지역축제 관련 의혹 및 각종 법규 위반에 대한 질의가 예정됐다.
이번 국감은 산업재해, 불공정 거래, 가맹점 갑질 등 ‘노동·상생’ 이슈 전반을 폭넓게 다룬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특히 SPC 사고는 단순한 작업장 안전 문제를 넘어, 대기업의 리스크 관리 구조와 법적 책임 체계가 다시 도마 위에 오를 가능성이 높다. 이른바 노란봉투법과 상법개정안 등으로 기업의 불공정과 노동 처우 부당함을 방지하려는 사회적 분위기 속 기업들이 어떤 대응책을 펼칠지 관심을 끌고 있다.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